영남 패권주의 시대, 균형과 조화가 파괴되어 가고 있다
[단독] 금융공기업 CEO·감사 영남출신이 73% 차지 | |
‘극심한’ 지역편중…TK가 53% 휩쓸어 공기업 개혁 명분으로 ‘권력 사유물화’ | |
![]() |
![]() ![]() |
21일 <한겨레>가 이명박 정부 출범 뒤 임명된 금융 공기업 13곳에서 새로 선임된 최고경영자 9명과 감사 6명 등 15명을 출신 지역과 학교별로 살펴본 결과, 영남 출신이 11명으로 무려 73.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남 중에서도 ‘티케이’(대구·경북) 출신이 8명으로 전체의 53.3%에 이르렀다. 비영남권은 수도권·호남·충청·강원이 각각 한명씩에 그쳤다. 금융 공기업 최고경영자에서는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경북 예천), 임주재 주택금융공사 사장(경북 안동) 등 9명 가운데 7명이 영남 출신이었으며, 비영남권은 진동수 수출입은행장(전북 고창)과 민유성 산업은행 총재(충남 천안)뿐이었다. 이런 결과는 이명박 정부가 최고경영자들의 일괄 사표를 받아내면서 내걸었던 ‘공기업 개혁’ 명분이 헛된 구호였음을 보여준다. 재신임을 받은 사람과 경남·광주 등 지방은행 인사는 조사에서 제외했다. 금융감독원과 증권선물거래소 임원의 지역 편중 역시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김종창 원장(경북 예천)을 포함해 영남 출신이 신임 임원 10명 가운데 5명을 차지했고, 증권선물거래소는 신임 본부장 3명이 모두 영남 출신이었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정부 들어 새로 임명된 금융권 인사 28명 가운데 19명(68.9%)이 영남 출신(티케이 13명)으로 채워졌다. 영남과 호남·충청만 비교할 경우 19 대 3으로 최소한의 안배와 균형도 갖춰지지 않은 인사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기관과 금융 공기업의 핵심 요직들이 전문성과 능력은 무시된 채 권력 핵심과 지연·학연으로 얽힌 몇몇 영남 출신들의 사유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정부의 한 고위 관료는 “국정 철학과 공기업 개혁이란 명분을 내세워 물갈이를 했지만 실제로는 티케이 출신들의 싹쓸이 자리 챙기기가 되고 말았다”고 꼬집었다. 정남기 선임기자 jnamki@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