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여론조사] 국정 지지율 23.5%
국민 76% “이명박 대통령 경제운용 잘못” | |
[한겨레 여론조사] 국정 지지율 23.5% 70% “조세제도 개편안 부유층이 수혜” | |
![]() |
![]() ![]() ![]() |
<한겨레>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 플러스’에 맡겨 지난 6일 벌인 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경제 운용에 대해 “매우 잘못했다고 생각한다”(21.1%), “대체로 잘못했다고 생각한다”(54.4%) 등 부정적인 평가가 75.6%에 이르렀다. “잘했다”는 응답은 18.9%에 그쳤다. 최근 정부·여당이 발표한 조세 제도 개편안이 시행될 경우 수혜층을 묻는 질문에는 ‘재산과 소득이 많은 사람’이라는 응답이 70.0%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중산층(15.3%), 국민 전체(7.5%) 차례였고, ‘저소득층과 빈곤층’을 꼽은 응답은 3.5%에 불과했다. 하지만 근로소득세 인하에는 77.6%가 찬성하고, 9억원 초과 주택의 장기 보유자 양도세 감면, 상속세·증여세 세율 인하에는 찬성 의견이 각각 52.8%, 57.3%로 나타나는 등 ‘감세’에 대한 찬성 의견이 절반을 넘었다. 재벌 기업이 은행을 소유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하는 문제에 대해선, 부정적 의견(70.2%)이 긍정적 의견(22.1%)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은 23.5%였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살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응답률은 10.3%였다.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여론조사 전문은 인터넷한겨레www.hani.co.kr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지은 이화주 기자 jieuny@hani.co.kr |
국민 73% “경제 1년전보다 악화” | |
“대외여건 탓46%” 이어 “정부정책 탓 29%” 꼽아 | |
![]() |
![]() ![]() |
<한겨레>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1년전과 비교해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는 어떻다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 72.5%가 “나쁜편이다”(47.0%) 또는 “매우 나쁘다”(25.5%)라고 답해 부정적인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1년전보다 지금이 좋다”라는 응답은 2.4%에 불과했다. 경제가 어려워진 이유로는 “국제유가 상승 등 대외 여건이 나쁘기 때문”(46.2%)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명박 정부의 경제정책이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이라는 답변도 29.1%나 됐다. 상당수 경제 전문가들도 고유가 등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우리 경제를 어렵게 만든 근본 원인이지만, 정부의 잘못된 환율 대응 등 정책실패가 어려움을 가중시켰다고 지적해왔다. 정책 실패로 시장의 신뢰를 잃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인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 등 현 경제팀이 교체돼야 한다는 의견은 47%로 나왔다.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는 응답은 33.8%였다. 지난 7월초 조사(49.1%) 때 보다는 교체해야 한다는 응답이 다소 낮아졌지만, 현 경제팀을 불신하는 국민들이 훨씬 많다. ‘이명박 대통령 재임기간 동안 경제가 나아질 거라고 생각하나’라는 질문에는 “더 나아질 것”이라는 대답이 43.3%, “더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은 19.6%였다. 32.7%는 “지금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가 지난 1일 발표한 세제개편안에 대해서는 다소 이율배반적인 반응을 보였다. 5년간 20조원이 넘는 대대적인 감세혜택이 주로 부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라는 응답이 70%에 달했지만, 자신의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근로소득세와 양도세 심지어 상속·증여세 감면에 대해서도 찬성하는 의견이 반대하는 의견보다 많았다. 근로소득세를 낮추는 것에 대해서는 찬성이 77.6%로 반대(16.2%)보다 훨씬 많았고, 9억 초과 주택 장기보유자의 양도세 대폭 감면에 대해서도 52.9%가 찬성했다. 상승·증여세율 인하를 찬성하는 의견도 57.3%였다.‘세제개편안에 담긴 감세 정책이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나’라는 질문에는 “도움이 될 것이다”(49.2%)라는 응답이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43.4%)라는 대답보다 약간 더 많았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