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는 지금 가회동을 누빈다
카메라는 지금 가회동을 누빈다 | |
[매거진 esc] 커버스토리 가회동 올드 & 뉴 | |
![]() |
![]() ![]() |
글 현시원 기자 qq@hani.co.kr, 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카메라는 지금 가회동을 누빈다 인사동과 삼청동의 번잡함을 벗어나 이곳으로 모여드는 사람들
홍대 앞에서 좀 놀아본 것과 청담동에서 놀아본 것의 ‘어감’ 차이를 아는 사람이라면 각자 즐기는 문화에 따라 제각각 발길이 닿는 곳이 다를 수밖에 없음을 실감할 것이다. 다방이 좋은 이에겐 테라스형 카페가 불편하고, 디제이의 음악에 열광하는 이에겐 라운지 뮤직이 불편하다. 최근 정독도서관과 재동초등학교 사이로 쭉 뻗은 가회동 골목에는 몇 년 새 카페 ‘투고’가 눈에 띄는 만남의 장소로 떠올랐다. 그 앞 고급 레스토랑인 ‘에프터 더 레인’, ‘가회헌’, ‘달개비’ 등을 넘어 삼청동으로 통하는 아트선재센터 앞 길목엔 주말이면 카메라를 든 젊은이들로 북새통을 이룬다. 독일교포인 그래픽 아티스트 권이지씨(33)는 얼마 전 친구의 소개로 정독도서관 앞길에서 가회동을 걸어봤다. 고층빌딩이나 현란한 간판이 넘치는 서울과 달리 한적하고 고즈넉한 곳이 마음에 들었지만 “한옥과 낮은 건물, 전통음식을 파는 식당 분위기는 분명 ‘어르신’들이 좋아할 만한 느낌인데, 세련된 옷을 차려입은 20∼30대 젊은이들이 많아 의아했다”고 했다. 가회동이 좋아 이곳을 찾는 이들이 지금까지 ‘북촌 한옥마을’로 대변되는 전통문화에 애착을 가진 윗세대였다면, 근래 가회동은 젊은 계층이 나름의 정취를 느끼기 위해 방문하는 트렌디한 장소가 되고 있다. 직장인 한혜진(31)씨는 “몇 년 전부터 정독도서관과 삼청동에서 놀다가 우연히 산책길로 가회동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인사동이나 삼청동보다는 사람들 발길이 드물어 조용하고 주변 계동, 원서동, 인사동, 화동에는 맛집이나 아기자기한 볼거리가 많아 ‘오감이 즐겁다’는 것이 그가 가회동을 찾는 이유다.
갤러리와 작업실도 이곳의 매력에 빠지다
말 그대로 여가를 즐기기 위해 가회동을 찾는 이들이 늘고 있는 것은 가회동 부근의 상점, 식당 주인, 주민들이 모두 피부로 느끼는 변화다. 흥미로운 것은 근래 가회동 주변에 자기 작업을 하는 젊은 문화예술인들의 작업실 겸 대중과의 소통 공간도 늘고 있다는 사실이다. 가회동사무소와 북촌미술관 사이 골목길로 걸어 들어가면 경사진 담벼락 밑에 ‘체어스 온 더 힐’이라는 카페 겸 가게가 모습을 드러낸다. 의자디자이너 한정현씨가 운영하는 이곳은 이름 그대로 언덕 위에서 의자를 파는 곳, 최근 입소문을 타 적잖은 사람들이 호기심을 안고 이곳을 찾는다. “막다른 골목 끝에 자리 잡아 문을 연 지 1년 반이 됐는데 아직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어요. 제가 생각해도 좀 유별난 결정이었죠. 가구 가게는 강남에 많은데, 그래도 한적하고 조용한 곳에서 작업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외국에서 가구디자인을 전공하고 돌아온 그는 옛 궁의 정취와 산자락의 풍경, 한옥 지붕의 이음매에 매료되어 이곳을 아지트 삼기로 결정했다. 그의 표현대로 ‘그림 같은 가회동’ 풍경을 볼 수 있게 됐지만 디자인한 작업을 세상에 유통시키기 위해서는 더 바쁘게 뛰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씨에게 가회동의 ‘체어스 온 더 힐’은 여러 실험이 가능한 작업공방이자 그의 취향을 고집하며 놀 수 있는 놀이터다. 가회동사무소를 나와 가회동 성당 쪽으로 펼쳐진 대로에는 최근 한씨처럼 동네 고즈넉한 정취를 배경 삼아 작업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가회동 대로에 한옥 갤러리를 연 ‘원앤제이’나 특색 있는 장난감 가게를 운영하며 다양한 디자이너나 예술가들과 협업 프로젝트를 선보이는 ‘델리 토이즈’, 젊은 작가들의 개인전을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갤러리 스케이프’ 등이 자리하고 있다. 홍대 부근에 있던 갤러리를 가회동으로 옮긴 ‘갤러리 스케이프’의 심소미 큐레이터는 “조용하고 한적한 이곳에서 오히려 새로운 전시를 과감하게 열 수 있다”고 말한다. 홍대 앞, 인사동, 삼청동이라는 너무나 잘 알려진 이름이 갖는 고정된 느낌을 벗어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 또 주요 갤러리가 많은 삼청동과도 가까워 관람객들과의 만남 또한 쉽다고 전한다. 임대료가 싸지 않은 이곳을 자기 공간으로 향휴하는 이들에겐 가진자의 여유가 느껴지기도 하지만, 이들이 가회동을 선택한 데는 일종의 고집도 담겨 있다. 너무 상업적이거나 요란하지 않은 곳을 택해, 고즈넉한 분위기 아래서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느껴졌다. 꽃 체인점인 ‘소호 앤 노호’를 운영하는 소아무개씨도 가회동의 고즈넉한 분위기에 매력을 느껴 이곳에 지점을 낸 후, 대기업 사원에서 아예 전문 플로리스트로 전업한 경우다. 그는 인근 공방을 찾는 젊은이들이나 북촌 한옥마을에 온 외국인들의 입소문을 타 근래에는 손님이 확연히 늘었다고 말한다. 처음 가게를 낸 뒤 2년 동안은 유동인구가 적어 고전을 면치 못한 것에 비하면 상당한 변화다.
최근엔 드라마, 영화 촬영장소로 인기
최근의 변화 아래 가회동에서 ‘논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한옥뿐 아니라 세련된 카페 정경도 찍을 수 있는 이곳은, 출사 나온 ‘사진동호회’ 회원들에겐 명당자리다. 30대 직장여성인 민아무개씨는 최근 복잡한 도심과 가까우면서도 분위기 좋은 것으로 입소문을 타는 가회동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을 피력한다. “가회동은 뭔가 있어 보이죠. 고급스럽고 품위 있어서 좋아요. 도시에 지쳐 있고 또 마땅한 고향이 없는 사람들이 정체성을 찾아 가회동에 간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정말 그곳에서 테라스형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고 있으면, 진짜 내 정체성이 뭔가 다시 생각하게 되죠.” 근래 가회동 주변은 최근 방송이나 영화 관계자들이 찾는 최적의 ‘헌팅’ 장소다. 드라마 <식객>의 김래원은 가회동 길목에서 봉고차를 몰았고, 김기덕 감독의 최신작도 가회동 한 카페를 배경으로 촬영했다. 현재 푸른 천으로 덮인 가회동의 한양슈퍼도 사연을 듣고보니 갤러리로 변신 중이다. 가회동의 오래된 청풍 아래를 누비는 새로운 발걸음들이 트렌디한 풍경과 겹쳐 새로운 문화적 거점이 되고 있다.
글 현시원 기자 qq@hani.co.kr, 사진 박미향 기자 mh@hani.co.kr |
기사등록 : 2008-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