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통계] 한국 GDP, OECD 9위
OECD 통계 : 생산 & 수입
[해설] 한국 GDP, OECD 9위
(2010년 9월 27일자)
■ 한국 GDP, 1조3444억 달러
- OECD 조사에 따르면, 회원국 가운데 미국이 14조3694억 달러로 가장 높은 GDP를 기록하고 있음 (2008년, PPPs 기준)
; 그 다음으로는 일본과 EU 경제 4대 강국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GDP가 높게 나타
났고
; 한국은 1조3444억 달러로 OECD 국가 중에서 9위로 나타남
※ PPP (Purchasing Power Parity / 구매력 지수) : PPP는 각국 간의 통화 가치의 차이를 해소하고 동일한 비교 기준을 만들기 위한 방법임. 즉, 전 세계의 물가와 환율이 동등하다고 가정했을 때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능력으로 실질적인 삶의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임
※ PPPs (Purchasing Power Parities / 구매력평가 환율) : 국가별로 물가 수준을 고려해 각국의 통화 구매력을 같게 한 통화비율. 즉, 같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데 드는 비용을 각국의 통화단위로 나타낸 가격비를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미국에서 주스 1병이 1달러(약 1000원)에 판매되고, 한국에서는 동일한 제품이 850원에 판매된다면, PPPs 는 미국 1달러에 원화 850원이 됨
[한국 및 OECD 주요국 GDP 현황] (단위: 10억달러, 측정기준: PPPs)
■ 2008년 한국 GDP 성장률 2.2%에 그쳐
- OECD 회원국 전반적으로 2008년 세계 금융위기가 일어나기 전과 후의 GDP 성장율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남
; OECD평균 GDP 성장율을 살펴보면 2008년 이전까지는 꾸준히 1%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2008년에는 무려 2.1%가 감소한 0.6% 밖에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남
; 한국의 경우도 2008년 GDP 성장률이 2.2%에 그쳐 2007년 GDP 성장률에 비해 - 2.9%p 라는 큰
감소치를 기록함
[한국 및 OECD 주요국 GDP 성장률] (단위: %)
■ 한국의 1인당 GDP, OECD 국가 중 22위
- 한국의 GDP 총액은 OECD 9위인데 비해 1인당 GDP는 22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의 1인당 GDP는 2008년 PPPs 기준 27,658달러로 나타남
; 1인당 GDP가 가장 높은 나라는 룩셈브루크로 84,713달러이며
; OECD 평균은 33,732달러로 나타남
- 참고로 2000년부터 한국민의 1인당 구매력 환율 기준 GDP는 2만 달러 이상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1인당 명목 GDP (즉, 환율 측정치)와 비교할 때 약 7천 달러 정도의 차이가 남
; OECD가 언급했듯이 구매력 환산 GDP는 그 나라의 ‘경제적 수준’을 반영한 것으로 한국민의 구
매력은 명목 GDP보다는 높음
; 반면 일본의 경우 국민 1인당 명목 GDP가 4만 달러 이상이지만 구매력 환율 기준 1인당 GDP는
그보다 낮은 34,132달러임
[한국 및 OECD 주요국 1인당 GDP 현황] (단위: USD, 측정기준: PPPs)
■ 한국 1인당 GNI, OECD 평균보다 낮아
- 한국의 국민 1인당 GNI는 2만7839달러로 OECD 평균인 3만3748달러보다 약 5천 달러 정도 낮음
; 2007년 한국의 GNI는 구매력 평가기준으로 2만 7천불을 상회하고 있어, 명목 환율보다는 약 7천
불 이상 높은 수치로 보이고 있으나
; OECD 평균치에는 못 미치는 수준으로 G7과 서유럽, 북미주 국가들의 GNI 비해 낮음
※ GNI (Gross National Income) : GNI를 도식화 하면 ‘GDP+순 외화벌이 = GNI’와 같음. 다시 말해 GDP는 ‘영토’를 측정기준으로 삼는 반면 GNI는 ‘노동력의 국적’을 기준으로 삼음. 예를 들어 베트남 노동자가 한국에서 수입을 얻는다고 할 때 그의 노동력 자체는 한국의 GDP에 포함되지만 그의 임금은 ‘베트남 국민’의 수입으로 보고 이를 베트남 GNI에 포함시키는 것임
[한국 및 OECD 주요국 1인당 GNI 현황] (단위 : USD, 측정기준: PPPs)
※ 본 내용은 'P&C리포트 -> 원본다운로드' 코너에서 아래아 한글 원본과 PDF 파일, 그리고 OECD 보고서 영문 원본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