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f public opinion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

시놉티콘 2011. 1. 3. 14:06

 

 

 

“北 연평도 포격후 안보의식 커져” 60%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
김상협기자 jupiter@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1:36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지난해 ‘11·23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안보의식과 대북 경각심이 압도적으로 높아졌으며, 북한의 추가 도발시 ‘전면전 불사 강력 대응’ 주장이 과반을 넘는 것으로 여론조사 결과 나타났다.

문화일보가 2011년 새해를 맞아 여론조사전문기관인 디오피니언(소장 안부근)에 의뢰해 실시신년 여론조사에서 ‘연평도 포격 이후 국가 안보에 대한 관심 변화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평소 북한의 도발 위험 등 안보에 관심이 있었으나 연평도 포격 이후 더욱 걱정하게 됐다’(60.0%), ‘평소 안보에 관심이 별로 없었으나 연평도 포격 이후 관심을 갖게 됐다’(31.4%)고 대답했다. ‘평소 안보에 관심이 별로 없었고, 앞으로도 마찬가지’(8.1%)라는 무관심층은 일부에 그쳤다.

안보태세와 관련, 북 연평도 도발 당시 군의 대응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우리 군이 잘못 대응했다’(65.4%)는 부정평가가 ‘잘 대응했다’(31.6%)보다 두 배가량으로 우세했다.

북한의 추가 무력 도발시 대응태세를 묻는 질문에는 ‘전면전을 불사하더라도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54.5%)는 견해가 압도적으로 높았고, 이어 ‘전면전을 피하기 위해 교전수칙에 맞춰 제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25.0%), ‘군사적 대응을 가급적 피하고 외교·경제적 수단으로 해결해야 한다’(20.3%)는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28∼29일 전국의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전화조사 방식으로 실시됐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다.

김상협·김만용기자 jupiter@munhwa.com

<2011 여론조사>
민주당 지지 33.9%도 “北 추가 도발 땐 전면전 불사”
“강력 대응” 男 61.8%-女 47.3%… 56.0% “北, 추가 도발할 것”
김상협기자 jupiter@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1:53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 지난해 11월23일 북한의 포격 도발로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는 연평도와 이를 배 위에서 바라보고 있는 주민들의 모습. 문화일보 자료사진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 결과 북한이 ‘11·23 연평도 포격 도발’에 이어 추가로 무력 도발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북한이 추가 도발할 경우 전면전을 불사한 강력 대응이 필요하다(54.5%)는 견해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북한이 연평도 도발 이후 다시 남한을 공격하는 도발을 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과반이 ‘추가 도발을 할 것’(56.0%)이라고 답해 ‘추가 도발하지 않을 것’(37.3%)이라는 전망보다 훨씬 많았다. ‘추가 도발’ 전망은 부산·울산·경남(62.4%), 대구·경북(61.9%), 서울(59.3%) 지역에서 평균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19~29세(65.7%)와 50대(62.8%)에서 평균을 상회했다.

이어 ‘북한이 또 도발한다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강력 응징’ 견해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세가지 선택 항목에 대한 응답은 각각 ▲전면전을 불사하더라도 강력한 대응(54.5%) ▲전면전을 피하기 위해 교전수칙에 맞춰 제한적으로 대응(25.0%) ▲군사적인 대응을 피하고 외교·경제적인 수단으로 해결(20.3%) 등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26 천안함 침몰 사건’에 이어 반년여 만에 연평도 도발을 또 당하고도 군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는 비판적인 분위기가 이처럼 추가 도발시 강력 응징해야 한다는 폭넓은 공감대 형성으로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전면전 불사에 대한 여론의 지지는 향후 북한의 무력 도발시 공격 원점에 대한 미사일 공격, 전투기 폭격 등을 감행해서라도 도발 의지 자체를 꺾으라는 주문으로 해석된다.

특히 주목되는 지점은 ‘전면전 불사 강력 대응’ 견해가 북한에 비교적 온건한 입장을 취해온 민주당 지지층(33.9%)과 민주노동당 지지층(29.2%)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 나타나고 있는 점이다.

민주당 지지층만 놓고 보면 세가지 견해가 골고루 나뉘어 ‘전면전 불사 대응’(33.9%), ‘제한적 대응’(33.2%), ‘외교적 해결’(32.8%) 등으로 3분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선주자 지지층별로 보면 ‘전면전 불사 강력 대응’은 ‘박근혜 지지층’(69.5%)·‘김문수 지지층’(62.7%)·‘정동영 지지층’(62.8%)에서 각각 평균을 훨씬 상회했다. ‘제한적 대응’은 ‘손학규 지지층’(48.0%)·‘오세훈 지지층’(37.3%)에서, ‘외교적 해결’은 ‘유시민 지지층’(60.6%)에서 각각 평균보다 높았다.

이와 함께 ‘전면전 불사 강력 대응’ 견해는 남성(61.8%)이 여성(47.3%)보다 많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높았다. 또 한나라당 지지층(71.1%), 자유선진당 지지층(78.0%)과 북한에 비판적인 진보신당 지지층(83.3%)에서 평균보다 높았다.‘제한적 대응’ 주장은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많았다.

김상협기자 jupiter@munhwa.com

<2011 여론조사>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시 “軍 대응 잘못했다” 65.4%
“現 정부 책임” 34.0% vs “前 정부 책임”31.3%
이미숙기자 musel@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1:51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시 우리군의 대응에 대해 ‘잘못했다’는 반응이 ‘잘했다’는 반응보다 2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따른 안보 불안이 초래된 책임은 이명박 정부와 전임 김대중·노무현 정부 모두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 결과 연평도 포격 도발시 우리군의 대응에 대해 ‘잘못했다’는 답변이 65.4%이고 ‘잘했다’는 응답은 31.6%에 불과했다. ‘잘못했다’는 응답은 지역별로 광주·전라(74.1%), 강원·제주(69.5%), 서울(69.0%)에서 평균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74.1%)와 40대(72.8%),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80.0%), 자영업자(73.2%), 농림어업(68.5%) 종사자에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정당별로는 민주당 지지층(74.1%)에서 높았다. 차기 대선 후보별로는 정몽준 후보 지지층(84.1%)에서 이례적으로 높았고 이어 손학규 후보 지지층(72.6%)과 유시민 후보 지지층(72.1%) 순이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안보 불안 상황이 조성된 책임에 대해선 ‘현정부의 미흡한 대응’이라는 응답이 34.0%로, 대북 유화정책을 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 책임’이라는 응답(31.3%)보다 약간 높았다. 그러나 그 차이가 오차범위(±3.1%)를 넘지 않는 2.7%포인트에 불과해 큰 의미를 둘 수는 없어 보인다. 대북 강경태세를 취하고 있는 보수정권이나 대북 유화정책을 지속한 진보정권 모두 한반도 안보 불안 상황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얘기다. 이어 ‘정치권의 국론분열’(17.8%), ‘안이한 국민안보의식’(11.3%)이 안보 불안의 이유로 꼽혔다.

안보 불안 책임을 현정부에 돌리는 층은 20~40대 젊은층이다. 20대의 경우 46.7%로 제일 높으며 30대와 40대는 각각 39.7%와 40.7%다. 학력별로는 대학재학 이상층(40.9%), 직업별로는 화이트칼라(39.1%), 지역적으로는 광주·전라(58.4%) 거주자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안보 불안에 대한 책임을 전임 진보정권쪽으로 돌리는 층은 50대(46.6%)와 60대(45.3%) 장년층이며 농림어업(42.3%)과 자영업(41.9%) 종사자들이다.

이미숙기자 musel@munhwa.com

 

<2011 여론조사>
대북 정책 어떻게… “대화” 52.2% vs “압박” 46.4%
신보영기자 boyoung22@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1:50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정부의 향후 대북 정책이 ‘대화’에 방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는 52.2%로, 대북 ‘압박’을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보다 조금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장기적으로 정부가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문으로 풀이된다.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에서 ‘대북 정책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2.2%는 ‘북한의 태도 변화가 없어도 대화를 통한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답했다. ‘북한 태도 변화를 위해 현재처럼 대북 압박을 계속해야 한다’고 답한 응답자는 46.4%였다. ‘대화파’와 ‘압박파’간 차이는 오차범위내(±3.1%)인 5.8%포인트로 크지 않았다. 하지만 이 같은 차이는 일부 계층에서 북한의 추가 도발로 인한 한반도 정세 불안에 대한 경계 심리가 작동하면서 ‘대화’쪽에 방점이 좀 더 찍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성별·직업별 응답률을 보면 여성(58.5%)과 주부(59.0%), 학생(54.2%)에서 ‘대화’ 주문이 평균 응답률보다 높았다. 확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높고, 군복무 문제가 걸려 있는 계층에서 ‘대화’를 선호하는 응답이 많았던 셈이다. 반면 남성 응답자의 53.3%는 대북 압박을 지지했다. 농림어업(56.3%)과 자영업(53.3%), 화이트칼라(49.4%)에서도 ‘압박’ 응답이 평균보다 높았다.

지역에 따른 차이도 확연했다. 광주·전라 지역에서는 75.6%가 ‘대화’ 중심의 대북 정책을, 대전·충청(53.7%)과 대구·경북(51.7%) 지역은 ‘압박’ 지속을 지지했다.

신보영기자 boyoung22@munhwa.com

<2011 여론조사>
연평도 포격 도발 영향…“천안함 침몰도 北 소행” 83.6%
안보에 대한 관심 수도권보다 지방이 높아
박영출기자 even@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1:49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천안함 침몰 사건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안보의식 강화의 계기로 작용해 응답자의 91.4%가 안보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연평도 포격 때문에 천안함 사건을 북한 소행이라고 믿게 됐다는 응답자도 17.7%에 달했다.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에서 ‘평소 북한의 도발 위험 등 안보에 관심이 있었으나 천안함·연평도 사건 이후 더욱 걱정하게 됐다’는 응답이 60.0%로 나타났다.

또 ‘평소 안보에 관심이 별로 없었으나 이들 사건 이후 관심을 갖게 됐다’는 응답도 31.4%에 달했다. ‘전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평소 관심이 별로 없었고 앞으로도 마찬가지’라는 응답은 8.1%에 불과했다. 결국 평소 안보에 관심을 가졌는지 여부와 상관 없이 천안함·연평도 사건 이후 국가 안보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응답자가 전체의 91.4%에 달하는 것이다.

안보에 대한 관심은 수도권보다는 지방에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관심 있다’는 응답은 강원·제주에서 100%로 나타났고, 대전·충청(97.7%), 부산·울산·경남(95.6%), 광주·전라(92.7%), 대구·경북(91.6%) 순이었다. 서울은 85.2%로 가장 낮았고, 인천·경기도 89.9%에 그쳤다.

연평도 포격 도발이 천안함 침몰 사건의 범인을 북한이라고 믿게 된 계기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연평도 포격 도발 사건과 관계 없이 천안함 침몰 사건은 북한의 소행이라고 믿고 있다’는 응답이 65.9%로 나타났다.

‘연평도 포격 도발 때문에 천안함 침몰 사건도 북한이 한 짓이라고 믿게 됐다’는 응답도 17.7%에 달했다. 결과적으로 이번 조사에서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라고 믿고 있다’는 응답은 83.6%인 셈이다.

앞서 ‘11·1 문화일보 창간 여론조사’에서는 ‘천안함이 북한의 어뢰 공격을 받고 침몰했다는 조사 결과를 신뢰한다’는 응답은 57.9%,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8.6%였다.

민주당 지지층의 53.3%는 조사 결과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번 조사에서 ‘연평도 포격 도발은 북한이 한 짓이지만 천안함 침몰 사건은 북한과 무관하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13.8%에 불과했다. 한나라당 지지층 중 이 같은 응답은 5.6%에 불과했고,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18.0%로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층 가운데 ‘연평도 포격과 상관 없이 천안함 사건은 북한의 소행’이라는 응답은 55.8%였고, ‘연평도 포격 때문에 천안함 사건이 북한의 소행임을 믿게 됐다’는 응답은 22.3%로 나왔다.

박영출기자 even@munhwa.com

<2011 여론조사>
“FTA 여러 나라와 체결해야” 79.5%
“한·미 FTA 내년초 국회 비준” 한나라당 입장에 동의 52.9%
김만용기자 mykim@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3:46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5명 중 4명은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새해 초에 국회가 최근 추가 협상을 끝낸 한·미 FTA 비준 동의안을 처리해야 한다는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야가 한·미 FTA 비준 동의안 처리를 놓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지만, 여론의 균형추는 ‘조기 처리’ 쪽으로 기울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다른 나라와의 FTA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9.5%는 ‘경제성장도움을 줄 것이므로 가능한 한 여러 나라와 체결해야 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반면 ‘경제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자는 12.4%에 그쳤다. 현재 정부가 복수의 국가들과 동시다발적으로 FTA를 체결하는 작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국민들은 정부의 이 같은 움직임을 강하게 지지한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FTA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대구·경북 지역(86.5%)과 부산·울산·경남 지역(84.7%)에서 많았다. 고졸(84.2%), 자영업(84.7%), 김문수 후보 지지층(97.3%), 박근혜 후보 지지층(84.6%), 오세훈 후보 지지층(92.9%), 정몽준 후보 지지층(86.0%)에서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도 FTA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72.9%에 이르렀고, 부정적인 평가는 20.1%였다.

부정적으로 평가한 의견은 서울(17.1%)과 광주·전라(16.9%), 대학 재학 이상(17.3%), 농림어업(19.0%)에서 비교적 높게 나왔다. 손학규 후보 지지층(28.2%), 유시민 후보 지지층(17.3%), 정동영 후보 지지층(17.3%)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한·미 FTA 추가 협상안의 국회 비준동의에 대한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야당의 견해 중 어느 쪽에 동의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2.9%가 ‘내년초 국회가 비준 동의를 해야 한다는 한나라당의 의견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민주당 등 야당의 의견에 동의한다’는 견해는 30.8%였다. 한나라당의 의견에 동의한다는 목소리는 역시 대구·경북 지역(67.8%), 부산·울산·경남 지역(57.5%), 강원·제주(56.5%)에서 많았고, 남자(57.1%), 50대(60.4%), 60대 이상(66.6%), 자영업(59.8%)과 무직·기타(58.3%)에서 다수를 차지했다. 야당의 의견에 동의한다는 견해는 광주·전라(56.9%), 여자(35.1%), 19∼29세(43.1%), 40대(42.6%), 화이트칼라(37.2%) 및 학생(41.3%)층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김만용기자 mykim@munhwa.com

<2011 여론조사>
초·중등 무상급식 “선별적으로” 62.5%
교육 현안
김병채기자 haasskim@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3:45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초·중등학생들에 대한 무상급식에 대해서 ‘저소득층선별적으로 무상급식을 제공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2.5%는 초·중등학생 무상급식에 대해 “저소득층에 선별적으로 제공해야 한다”고 답했다. ‘의무교육 대상자인 초·중등학생 전체에 무상급식을 제공해야 한다’는 답변은 응답자의 36.8%였다.

한나라당 지지층에선 선별 무상급식 응답이 70.0%로 전체 무상급식 응답 29.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민주당 지지층에선 선별 무상급식(50.2%)과 전체 무상급식(49.5%) 의견이 비슷했다.

연령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선별 무상급식 응답이 많았는데 40대에서만 선별 무상급식 52.1%, 전체 무상급식 47.6%로 두 응답의 차이가 오차범위(±3.1%) 내였다. 초·중등학생 자녀를 둔 연령대에서 상대적으로 전체 무상급식 의견이 다소 높게 나온 것이다.

학력별로는 중졸 이하에서 선별 무상급식 응답이 70.9%로 가장 높았고 고졸, 대학재학 이상에서는 각각 60.8%와 60.3%가 선별 무상급식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학생 체벌문제에 대해서는 ‘체벌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체벌 금지 응답보다 훨씬 높았다. ‘선생님들의 교육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체벌을 다시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은 76.5%였다. ‘일시적 현상이므로 계속 체벌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은 20.9%에 그쳤다.

전 연령대에서 체벌 허용 응답이 70% 이상을 기록한 가운데 50대(84.7%)에서 체벌 허용 응답이 가장 많았고 40대(72.3%)에서 상대적으로 적었다.

체벌 금지 의견은 반대로 40대(25.4%)에서 가장 높고 50대(14.2%)에서 가장 낮았다.

한나라당 지지자들(84.4%)에서 민주당 지지자들(73.1%)에 비해 체벌을 허용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김병채기자 haasskim@munhwa.com

<2011 여론조사>
‘경제성장·일자리 창출’ 최우선
국정과제
신선종기자 hanuli@munhwa.com | 게재 일자 : 2011-01-01 13:44 요즘페이스북구글트위터미투데이
문화일보 신년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상당수는 정부가 2011년에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국정과제는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등 경제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1년 부동산 경기를 비롯한 경제상황이 2010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는 응답이 많은 것으로 나왔다.

‘정부가 2011년 가장 중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국정과제가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경제성장’(24.5%)과 ‘일자리 만들기’(24.4%) 등 경제문제 해결에 절반에 가까운 48.9%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어 ‘국민 통합’(14.2%), ‘안보 강화’(13.9%), ‘남북관계 개선’(11.2%) 등의 순으로 중점 국정과제를 꼽았다.

응답을 ‘경제성장’이란 항목으로 선택한 대상자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 31.9%로 가장 높게 나왔고 다음으로는 광주·전라지역(26.5%)이었다. ‘일자리 만들기’라고 응답한 사람은 광주·전라지역에서 29.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인천·경기지역(26.0%)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 ‘경제성장’(30.4%), 20대에서는 ‘일자리 만들기’(31.2%)라는 응답이 각각 많아 경제환경에 대한 세대와 나이별 시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2011년 경제전망에 대해 ‘2010년과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54.0%로 나타나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높았다.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은 24.1%였고 ‘더 나빠질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은 19.6%로 나와 낙관적인 전망이 조금 높았다.

2011년 부동산 경기 전망도 ‘2010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54.0%로 나와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활성화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은 18.9%였고 ‘더 침체될 것’이라는 부정적 전망은 20.3%로 집계됐다.

신선종기자 hanuli@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