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e

[기사인용] “행복을 위한 거버넌스가 해법”

시놉티콘 2019. 12. 22. 16:17
행복을 위한 거버넌스가 해법


앤더스 포 라스무센 전 덴마크 총리의 제언

2001년부터 2009년까지 덴마크 총리를 역임한 앤더스 포 라스무센이 행복을 위한 거버넌스가 더 나은 세계를 위한 해법이라고, 최근 <타임> 기고를 통해 밝혔다. 라스무센 전 총리는 그 어느때보다 부유하고 건강하며 상대적으로 평화로운 오늘날 민주주의 세계에서, 사람들은 행복하지 않고 아이들이 우리보다 나은 삶을 살게 될 거라는 확신이 없다면서 불안한 유권자들이 포퓰리즘과 고립주의에 의지하려는정치적 흐름에 현혹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리고 유엔 세계행복보고서((World Happiness Report)에서 꾸준히 높은 순위를 차지한 덴마크의 전 총리로서, “민주주의 세계를 위협하는 불행의 전염병을 해결하는 데 덴마크를 비롯한 북유럽 국가들의 사례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덴마크 국민의 행복도가 높은 이유로 크게 세 가지를 꼽았다. 정부와 미디어, 기업이 국민을 속이려 하지 않는다는 것을 모두가 인지하기에 생겨나는 신뢰, 세금으로 건강, 교육, 노후생활 등을 보장하는 공공서비스, 생산성에 중점을 두되 휴식과 여가를 위한 충분한 시간과 강력한 사회보장 안전망을 갖춘 노동시장의 ‘유연이다. 그리고 북유럽 국가들(스칸디나비아)의 강점이 자본을 성장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만큼 사회적 자본에 대해서도 투자하는” 것에 있다고 설명했다.

라스쿠센 전 총리는 복지에 초점을 두면 유권자가 더 행복해진다면서 행복을 위한 거버넌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기를 타개할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리고 행복장관을 임명한 아랍에미리트, 국민의 행복지수를 측정하는 부탄, 웰빙예산을 책정한 뉴질랜드를 언급하면서 “G7 지도자와 재무장관은 차기 G7회의에서 뉴질랜드와 유사한 행복예산을 고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시민단체 '빅토르 핀추크(Pictor Pinchuk)'6개 대륙 15개국에서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7.6%가 행복과 건강을 삶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고 정부가 국민의 행복을 높이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응답한 점을 예로 들면서, 전 세계 정치지도자들이 행복해지고 싶어하는 사람들과 감성적으로 연결되는 감성적인 방법을 찾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사진 NATO  
*기고문 전문은 여기를 클릭하면 볼 수 있습니다.
행복지표 심포지엄 
지역 행복지표 개발 및 정책연계 
 2019년 12월 18일 수요일 오후 2시 
서울 광화문 에스타워 다이아몬드홀 
 행복한 공동체 

복지 체감도, 워라밸 인식 높아졌다  
통계청 '2019년 사회조사' 결과 분석 ② 복지소득노동 부문

통계청이 실시한 ‘2019 사회조사 결과가 지난달 25일 발표됐다. 올해 5 15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이번 조사는 전국 19천 표본가구의 만 13세 이상 37천 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지난 회 사회참여 부문에 이어 복지, 소득, 노동 부문 조사결과를 살펴본다.  

통계청이 실시한 '2019 사회조사' 관련 그래프. 통계청 제공.  
우리사회의 전반적인 생활여건과 사회보장제도가 점차 나아지고 있다는 응답이 많았다. 생활 여건이 좋아졌다는 응답은 전체의 48.6%2017년 조사결과(41.1%)보다 7.5%포인트 높아졌다. 사회보장제도가 좋아졌다는 응답은 60.8% 2년 전(45.9%)보다 14.9%포인트나 올랐다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2009 30.2%, 201131.6%, 2013 32.6% 등으로 큰 변화가 없다가, 2015년 기초연금 전면 도입으로48.5%까지 급등했다. 2017년에는45.9%으로 줄었다가 최근 2년새 다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사회보장제도가 좋아졌다는 응답은 60살 이상이 63.7%로 가장 높았고, 19~29살 청년층은 51.9%로 가장 낮았다. 기초연금과 근로장려금 확대, 아동수당 지급 등 그간 복지혜택이 주로 중장년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이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더 확충해야 할 공공시설로는 보건의료시설(23.2%), 사회복지시설(16.5%)이 꼽혔고, 확대해야 할 복지서비스는 고용·취업지원 서비스(32.5%), 보건의료·건강관리 서비스(18.7%), 소득지원서비스(16.4%) 등이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만큼 전 세대에 걸쳐 노후준비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세 이상 응답자 중에서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65.1%에 달했다. 준비방법으로는 국민연금이 55.2%로 가장 많았고, 예·적금(18.4%), 사적 연금(8.4%), 기타 공적 연금(8.3%), 부동산 운용(5.2%), 퇴직급여(3.9%), 주식·채권(0.5%) 순이었다.  실제 60세 이상 고령자의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및 배우자 부담이 69.9%로 가장 많았고, 자녀 또는 친척지원(17.7%), 정부 및 사회단체(12.4%) 순이었다. 10년 전보다 본인 및 배우자 부담과 정부 및 사회단체 지원의 비중이 늘고, 자녀나 친척의 지원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을 비롯한 사회복지제도가 확대되면서, 개인의 노후생활에 자녀보다 정부의 역할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는 일과 삶의 균형(워라밸)을 우선하는 이들이 일을 우선시한다는 이들보다 처음으로 많아졌다일을 우선한다는 응답은 42.1% 2년 전 조사(43.1%)보다 1%포인트 줄었고, 일보다 가정생활을 우선한다는 13.7% 0.2%포인트 줄었다. 반면 둘 다 비슷하다는 응답은 44.2% 1.3%포인트 올랐다. 19~29세는 일이 먼저라고 생각하는 비중(50.3%)이 높았지만, 30대 이상은 모두 일과 가정생활 둘 다 비슷하게 생각하는 비중이 높았다. 

행복한 습관 

연말 쇼핑 대신 행복을 위해 해야 하는 4가지


블랙 프라이데이(1129)를 시작으로 한해 미국 소비의 4분의 1이 집중되는 연말 쇼핑시즌을 맞아, 온라인 미디어 <패스트컴퍼니닷컴>(fastcompany.com)이 행복 과학자들의 조언을 소개했다. “누군가에게 선물을 하려면, 물건을 구매하기보다 그들과 경험을 쌓는 데 돈을 쓰라는 것. “소유보다 경험이 더 지속적이고 큰 만족감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와있기 때문이다.

영국 코넬대 심리학 교수인 토마스 길로비치(Thomas Gilovich)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물건을 사지만, 연구결과 경험이 더 오래 (행복감이) 지속된다면서 경험이 상품보다 더 지속적인 만족을 주는 가장 큰 이유는 사회적 가치, 즉 다른 사람과 시간을 보내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참여하고 있다는 데서 온다고 설명했다. 길로비치 교수의 연구에 참여했던 아미트 쿠마르 텍사스대 마케팅 심리학 교수는 또 한 가지 중요한 이유를 꼽았다. “소유는 다른 사람과 비교하기 쉽고 최고가 아니면 부족하다고 느끼지만, 당신의 여행경험을 친구의 여행과 비교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이다. <패스트컴퍼니닷컴>은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진정한 행복을 위해 연말 쇼핑 대신 당장 실천할 수 있는 4가지를 소개했다.

공원에 가라
행복을 느끼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자연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다. 전원 지역을 걷는 사람들이 도심을 걷는 사람들보다 불안을 덜 느낀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자연의 풍광과 소리, 냄새를 즐기는 일본식 삼림욕이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자연보행은 혈압을 낮추고 평온과 만족을 가져다준다, 과학자들은 말한다.

친구를 만나라
최근 한 연구에서 내향적인 사람들은 일주일간 외향적인 사람처럼 행동했을 때 기분이 좋아졌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사람들이 한달 동안 평소보다 더 많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했을 때 더 행복하다고 느꼈다. 사회적 관계는 자신을 더 행복하게 만드는, 신뢰할 만한 방법이다.

창조적인 일을 하라
예술적 재능이 있든 없든, 창조적인 일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면 사람들은 더 행복해지고 활력이 생긴다. 보통 사람들이 시간을 보내는 방법을 알아본 2016년 뉴질랜드 연구에서, 참가자들은 창조적인 활동에 시간을 투자한 후 삶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운동을 하라
운동은 사람을 더 행복하게 만든다. 일주일에 한 번, 또는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운동을 하면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더 행복해진다는 연구결과가 수없이 많다. , 지나치게 많은 양의 운동은 효과를 반감시킨다. 실내운동보다는 야외운동이 더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