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최근 공원과 녹지 등을 품은 '숲세권'이 인기를 끄는 가운데 서울 자치구별 공원 면적이 최대 12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자치구는 1인당 공원 면적이 한 평(3.3㎡)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서울 지역 공원은 총 2천837곳, 면적은 168.37㎢에 이른다.
이 가운데 남산과 수락산 등 도시자연공원과 묘지공원·북한산 국립공원·서울대공원을 제외하고, 실제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활권 공원은 약 33%인 55.63㎢였다.
1인당 생활권 공원 면적을 보면 자치구별로 최대 12배 차이가 났다.
가장 넓은 종로구는 18.60㎡에 이르는 반면 금천구는 1.59㎡에 불과했다. 전체 공원 수도 종로구는 110곳에 달했지만, 금천구는 절반인 55곳에 그쳤다.
서울 전체로 봤을 때 1인당 평균 생활권 공원 면적은 5.49㎡, 약 1.7평이었다. 그러나 1인당 면적이 한 평(3.3㎡)도 안 되는 자치구가 전체의 4분의 1인 6곳에 달했다. 금천구를 비롯해 관악구(2.46㎡)·은평구(2.55㎡)·구로구(3.03㎡)·동대문구(3.26㎡)·광진구(3.32㎡)가 여기에 해당했다.
반면 종로구 외에 마포구(11.18㎡)와 중구(10.80㎡)는 평균의 두배에 달하는, 넓은 공원 면적을자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