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9. 28. 19:12ㆍlecture
OECD 통계 : 인구
[해설] 한국, 저출산.고령화로 2050년 큰 폭 인구감소 전망
(2010년 8월 25일자)
■ OECD 인구, 11억8천만명으로 세계인구 중 18% 비중
- 2007년 현재 OECD 회원국 인구는 11억8316만7천명을 기록, 67억 세계인구 중 18% 비중을 차지함
; 미국이 가장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OECD인구의 25%), 그 다음으로 일본(11%), 멕시코
(9%), 독일(7%), 터키(6%) 순으로 나타남
- 한국은 4,845만6천명으로 OECD 국가 중 9번째로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음
- 비회원국 가운데 중국이 세계 전체인구의 2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도가 17%로 두 번째를 기록함
※ ‘인구(population)’의 정의: OECD는 ‘거주인구(resident)’ 만 인구통계에 포함 시키고 있으며, 10년 기준으로 인구조사를 시행함
■ 한국 신생아 출산율 1.19명으로 OECD 국가 중 최저
- OECD 국가의 신생아 출산율은 지난 수십년간 급속도로 하락하고 있음
; 1970년대 OECD 국가들의 평균 신생아 출산율은 1인당 2.7명이었으나, 2000년부터는 1인당 1.6
명으로 줄어듦
; 한편 OECD 회원국은 젊은 여성일수록 출산율이 저조하고, 오히려 나이든 여성들의 출산율이 더
높음
- 2008년도 한국의 신생아 출산율은 1.19명으로 OECD 국가 중 최저를 기록하고 있는데, OECD 평균보다 무려 0.52명이나 적은 것으로 나타남
; OECD 평균 신생아 출산율보다 많은 국가는 21개국이며, 평균치 보다 낮은 국가는 한국을 포함
한 18개국임
[한국 및 OECD 주요국 2000년대 신생아 출산율]
[BRICs의 2000년대 신생아 출산율]
■ 한국, 저출산 영향으로 인구증가율 매우 낮아
- OECD 전체 인구증가율 추이를 살펴보면 2005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2007년에는 약간의 증가를 기록함
; 2007년 인구증가율은 0.68%로 나타났는데, 세계인구 증가율 1.19% 보다는 낮은 수준임
- 한국의 인구증가율 역시 2005년 0.21%로 최저치를 나타낸 이후 2007년에는 0.33%로 조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 10년 전인 1997년과 비교하면 무려 0.61%p 하락함
[한국 및 OECD 주요국 2000년대 인구증가율] (단위: %)
■ 한국, 2050년에는 2007년 현재보다 611만명 인구감소 전망돼
- OECD는 OECD 및 세계 전체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함
; 미국과 EU의 인구가 계속 증가하면서 미래 OECD 전체인구의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
- 그러나 한국의 미래인구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함
; 2050년 한국 인구는 4,234만3천명으로 2007년 현재보다 611만3천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
; 현재는 OECD 국가 중 인구비율이 9번째로 많은 나라지만 2050년에는 10위권 나라로 밀릴 것으
로 예측함
- 한편 BRICs의 미래 인구는 브라질을 제외하고 감소할 것으로 전망함
<한국 및 OECD 주요국 현 인구 & 미래 인구 전망> (단위 : 천명)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ECD 통계] 인구 3 (0) | 2010.09.28 |
---|---|
[OECD 통계] 인구 2 (0) | 2010.09.28 |
[시론] 국가와 시민이 정용진에게 답하라 / 조국 (0) | 2010.09.27 |
미국의 북한 금융제재 그림 (0) | 2010.09.17 |
‘착한 기업’이 주가수익률도 높더라 (0) | 201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