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0. 1. 12:25ㆍlecture
김정일 후계자 김정은, 조부 김일성 빼닮아 | |
노동신문, 김정은 사진 첫 게재 짧은 머리에 얼굴 크고 몸집 있어 | |
![]() |
|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 떠오른 셋째아들 김정은의 사진이 30일 공개됐다. 김정은의 사진은 과거 스위스 유학 시절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것이 있으나, 최근 사진이 공개되기는 처음이다. 김정은은 짧은 머리에 얼굴이 크고 볼이 통통했고, 호리호리하기보다는 비교적 몸집이 있어 보였다. 스위스 유학 당시 날렵한 인상을 풍기던 사진과는 상당히 달라졌다.
북한 <노동신문>은 30일자 1면에 김 위원장과 김정은이 나란히 앉아 있는 노동당 대표자회 기념촬영 사진을 실었다.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께서 조선노동당 중앙지도기관 성원들, 당대표자회 참가자들과 기념촬영을 하시었다’는 제목과 함께 실린 이 사진에서 김정은은 김 위원장의 오른쪽 두 번째 자리에 앉아 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김 위원장이 평양 금수산기념궁전에서 당 중앙기관 성원 및 제3차 당대표자회 참가자와 기념촬영을 했으며, 김정은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도 참여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촬영에 참가한 당 간부들을 소개하면서 김정은을 당 정치국 상무위원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 최영림 내각 총리, 리영호 군 총참모장에 이어 네 번째로 호명했다.
김정은은 앞서 열린 제3차 노동당 대표자회와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과 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됐다. 중앙군사위 위원장인 아버지에 이어 군사 분야 2인자의 위상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된다. 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직은 이번에 신설됐다. 김정은은 앞으로 이를 기반으로 김 위원장의 후원과 친위 세력의 지원 아래 군권을 장악하고 후계 체제를 확립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노동당 대표자회에선 1980년 제6차 당대회 이후 30년 만에 당 최고지도기관인 중앙위원회 위원 145명과 후보위원 105명을 선출했다. 또 이들로 구성된 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열어 당 기구를 구성했다. 당 사업과 정책 결정의 조직·지도기관인 정치국 상무위원엔 김정일 위원장,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최영림 내각 총리,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 리영호 군 총참모장 5명이 선임됐다. 또 김정은과 함께 ‘인민군 대장’ 칭호를 받은 김정일 위원장의 여동생 김경희 당 경공업부장 등 17명이 당 정치국 위원에 임명됐다. 김경희의 남편인 장성택 국방위원회 부위원장(당 행정부장 겸임) 등 15명은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됐다.
e뉴스팀 |
북한 당규약 ‘맑스·레닌주의당’→‘김일성 당’ | |
당규약 어떻게 바뀌었나 ‘당의 군통제 강화’ 명시 | |
![]() |
![]() ![]() |
북한은 28일 열린 노동당 대표자회에서 당 규약도 개정했다. 북쪽에서 노동당 규약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조선로동당의 령도 밑에 모든 활동을 진행한다”는 ‘사회주의헌법’ 11조가 보여주듯, 헌법보다 상위의 규범이다.
하지만 북쪽은 개정한 당규약 전문을 공개하지 않았다. 대신 당규약 서문과 ‘당규약 개정에 대한 당대표자회 결정서’(결정서)만 공개했다. 우선 결정서를 보면 “인민군대 안의 당조직들의 역할을 높일 데 대한 내용을 보충하였다”는 대목이 가장 눈에 띈다. 당대표자회와 당 중앙위 9월 전원회의를 통해 위상이 대폭 강화된 당 중앙군사위원회 등을 통해 ‘당의 군 통제’를 강화하겠다는 뜻이다.
이날 공개된 당규약 서문은 1980년 10월 6차 당대회 때 개정된 내용과 달라진 대목이 여럿 있다. 우선 노동당은 “김일성 동지에 의해 창건된 주체형의 혁명적 맑스-레닌주의당”에서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당”으로 바뀌었다. 노동당의 당면 목적은 “공화국 북반부에서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 이룩”에서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로 낮춰 잡았다. 노동당의 최종목적이었던 “공산주의 사회 건설”은 “인민대중의 자주성 완전 실현”으로 대체됐다. 지난 92년 헌법 개정 때부터 이뤄져온 체제목표의 하향 조정 내용 등 지난 30년간의 변화를 반영한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북쪽의 대남전략 기조 변화 여부와 관련해 핵심 관심사였던 ‘노동당의 당면목적’은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과 인민민주주의의 혁명과업 완수”에서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 민주주의 혁명의 과업 수행”으로 바뀌었다. ‘인민민주주의혁명’에서 ‘인민’을 삭제한 데 구체적으로 어떤 정책적 의미가 담겨 있는지는 좀더 두고볼 필요가 있다.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80년대 경찰 가혹행위로 숨진 2명 손배소 (0) | 2010.10.07 |
---|---|
소집단체제 ‘아메바 경영’ 개인역량 최대한 끌어내 (0) | 2010.10.06 |
북한 권력기구 인사개편 (0) | 2010.10.01 |
북한 권력기구 (0) | 2010.09.29 |
[지구온난화] 하루 259㎜ 비폭탄…한반도에 무슨일이? (0) | 2010.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