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정기여론조사

2013. 3. 4. 14:15a survey of public opinion

 

국민 74.5% “문제있는 장관후보 교체”

등록 : 2013.03.03 19:56 수정 : 2013.03.03 22:33

한겨레-KSOI 여론조사
“박 대통령 잘하고 있다” 55%

박근혜 대통령이 지명한 장관 후보자들 가운데 문제가 제기된 일부 후보자는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이 국민 4명 가운데 3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통령의 취임 첫주 지지율은 55.0%로, 절반을 겨우 넘기는 수준에 그쳤다.

 

<한겨레>가 2일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맡겨 벌인 여론조사에서, 인사청문 절차가 진행중인 장관 후보자 17명의 거취와 관련해 “일부 문제가 된 후보자는 교체해야 한다”는 답변이 74.5%에 달했다. “발표 명단 그대로 전부 임명해야 한다”는 응답은 20.7%에 머물렀다. ‘일부 교체’ 응답 비율은 서울(79.1%), 20대(92.0%) 등에서 더욱 높았다. 대선에서 박 대통령에게 투표했던 계층(63.3%)에서도 ‘교체’ 목소리가 높았다. 무기중개업체 로비스트 활동, 세금 탈루, 부동산 투기 등 여러 의혹과 비판에 휩싸인 김병관 국방장관 후보자 등에 대한 여론의 싸늘한 반응을 보여준다.

 

‘박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일을 잘하고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55.0%가 “잘하고 있다”고 답했고,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3.6%였다. 박 대통령의 공약 수정 논란과 관련해 73.8%는 “공약대로 이행해야 한다”고 답했고, 25.6%는 “공약대로 이행하지 않아도 된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살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가구전화와 휴대전화를 절반씩 섞어 임의걸기 방식으로 진행했다. 95% 신뢰수준에 오차한계는 ±3.5%포인트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박 지지율 ‘MB 초반 닮은꼴’…“인선잘못·소통미흡”이 원인

등록 : 2013.03.03 20:08 수정 : 2013.03.03 21:43

박근혜 대통령이 2월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첫 수석비서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한겨레-KSOI 여론조사] 박 대통령, 부진한 출발 왜?

5년전 MB 지지율 조금 웃돌아
서울·40대이하는 40%대로 추락

대구경북·50대 이상 ‘높은 지지’
문재인 투표층 33.1%도 긍정적
“취임식 뒤 기대감 살아나” 분석

 

박근혜 대통령의 출발 직후 ‘성적표’가 신통치 않다. 정권 출범 시점임에도 지지율이 과반을 겨우 넘는 것으로 나타나났다. 역대 정부에서 정부 출범 직후엔 대통령 지지율이 높았다.

 

<한겨레>가 2일, 박근혜 정부 출범 뒤 처음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 지지율은 55.0%를 기록했다. “잘하고 있다”는 응답자 비율이 자신의 대선 득표율(51.6%)를 겨우 넘긴 것이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3.6%에 머물렀고, ‘모름 또는 무응답’이 21.4%였다. 국민 다수가 아직은 박 대통령에 대한 평가를 유보하고 있는 셈이다.

 

부정적 평가를 내린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잘못된 인선”(39.8%)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국민과 소통 미흡”도 31.7%나 됐다. “공약 실천 의지의 부족”은 25.5%였다.

 

※ 이미지를 클릭하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박 대통령 지지율 내용을 들여다보면, 지역적으론 서울이 48.5%로 지지율이 절반 아래로 떨어졌다. 인천·경기, 대전·충청 지역은 전국 평균과 비슷했고, 부산·울산·경남 지역도 58.2%에 불과했다. 오직 대구·경북 지역만 70.2%를 기록해 박 대통령의 지지를 떠받치고 있다.

세대별 격차는 더 심하게 벌어졌다. 30대는 지지율이 40.4%까지 떨어졌고, 20대(44.0%)와 40대(48.1%)도 절반 아래였다. 5살 단위로 보면, 30대 후반(32.1%), 20대 후반(36.2%), 40대 초반(38.2%) 등에서 지지율이 특히 낮았다.

 

그러나 50대는 63.1%, 60대 이상은 78.5%를 기록했고, 저학력층(중졸 이하, 79.0%), 저소득층(200만원 이하, 67.6%) 등 대구·경북, 노인, 저학력·저소득층 등 박 대통령의 핵심지지층들은 여전히 박 대통령에 대해 강한 지지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를 찍었던 계층의 33.1%도 박 대통령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진보 진영에서도 아직까지는 박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을 완전히 저버린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역대 대통령들은 취임 초 높은 지지율을 보이다 곧바로 ‘지지율 낙하’를 경험했다. 김대중 대통령은 취임 직전(1998년 2월) 국정운영 지지율이 84.8%였고, 노무현 전 대통령도 취임 직후(2003년 3월) 지지율이 71.4%였다. 그러나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2008년 3월) 지지율이 49.4%에 불과했다. 인수위 시절 혼란상과 새 정부 장관 인선 파동(‘고소영 내각’) 탓인데, 박근혜 정부의 지금 모습과 거의 비슷하다. 윤희웅 한국여론사회연구소(KSOI) 조사분석실장은 “대통령직 인수위 시절 소통 부재와 부적절한 인선 등에 대한 비판으로 국정지지율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다가, 취임식 이후 기대감이 다시 살아나면서 조금 개선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이후 인선과 정부조직법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 초반 개혁 아젠더를 제시하느냐 등에 따라 이후 방향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창현 기자 blue@hani.co.kr

 

‘현안’ 평가는 부정적…박 대통령엔 호의적

등록 : 2013.03.03 20:03 수정 : 2013.03.03 21:43

한겨레-KSOI 여론조사
“인사 잘했다” 응답자 중 62%
“일부 문제 후보 교체해야”

‘실망스럽다. 하지만 아직 기대는 접지 않겠다.’

2일 <한겨레>가 한국사회여론연구소에 맡겨 실시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과 관련한 여론조사 결과는 이렇게 요약된다.

‘현재까지 진행된 인사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과 ‘장관 후보자 17명의 임명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사실상 같은 내용의 질문에 상반된 답이 나왔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인사와 관련해 ‘잘못했다’는 답변은 33.1%, ‘잘했다’는 답변은 절반에 가까운 49.6%였다. 그런데, 정작 인사의 직접 대상인 장관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선 ‘발표한 명단 그대로 전부 임명해야 한다’는 의견이 20.7%에 불과했다. 반면 ‘일부 문제가 된 후보자는 교체해야 한다’는 의견은 ‘전부 임명’의 4배에 가까운 74.5%나 됐다. 모든 질문에서 박 대통령 지지·공감 응답이 가장 높았던 60대 이상에서조차, ‘전부 임명’ 의견은 35.8%에 불과한 반면, ‘일부 교체’ 의견이 52.9%에 이르렀다. 또 지난 대선에서 박 후보를 지지했던 층에서도 ‘문제 후보 교체해야한다’는 응답이 63.3%에 이를 정도로 높았다.

 

이처럼 박 대통령의 인사와 관련해, 실제 후보자들을 두고는 교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총론’에선 그보단 후한 점수를 주는 셈이다. 이는 박 대통령의 지지층이 ‘박근혜’가 들어가는 여론조사 항목에선 거의 무조건적으로 지지 의사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이 인사를 잘했다’고 응답한 이들 중에서도 62.2%는 ‘일부 문제 후보는 교체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는 박 대통령을 지지하는 이들조차 일부 장관 후보 교체가 박근혜 정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안타까움이 담긴 응답으로 해석된다.

 

한편, 응답자 10명 가운데 6명(59.2%)은, 박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위한 준비가 잘 돼 있다’고 평가했다. ‘준비가 덜 돼있다’는 평가는 36.7%였다. 박 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의견으로 해석된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경제민주화·복지 공약대로 이행해야”

등록 : 2013.03.03 20:02 수정 : 2013.03.03 20:09

한겨레-KSOI 여론조사
74%가 응답…증세는 찬반 팽팽

국민 다수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약속한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 공약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복지공약 이행을 위해 세금을 늘리는 문제에 대해선 찬반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한겨레>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여론조사 결과, ‘지난 대선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 공약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73.8%가 “공약대로 이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공약대로 이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답변은 25.6%에 머물렀다. 지역별로는 서울(72.5%), 경기·인천(74.3%), 광주·전라(78.7%), 대구·경북(70.8%), 부산·울산·경남(77.3%) 등 지역별 차이도 크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20대(82.3%), 30대(80.4%) 등 젊은층에서 80%대를 나타냈고, 기초노령연금, 4대 중증질환 등 공약에 더 민감한 60대 이상(68.5%)이 50대(60.1%)보다 공약이행 요구 목소리가 더 높았다.

 

그러나 ‘복지공약 일부를 포기하더라도 증세를 해선 안된다’는 질문에 48.1%, ‘증세를 해서라도 복지공약을 이행해야 한다’는 질문에 48.8%가 공감하다고 밝혀, 증세 여부에 대해선 의견이 엇갈렸다. 소득별로 보면, 증세 부담이 가장 큰 ‘월소득 401만원 이상’ 소득자들이 ‘증세’와 ‘공약 포기’ 응답이 48.9%로 같았는데, 증세 부담이 거의없는 ‘월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도 ‘증세’(46.1%)와 ‘공약 포기’(47.6%) 비율이 비슷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인식 차이가 거의 없었다. 증세에 대해 줄곧 강한 거부감을 표시해온 보수언론의 영향력이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