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여론조사] 84% "신재민 부적격"

2010. 8. 19. 11:15a survey of public opinion

 

 

 

일반인엔 ‘철퇴’ 청문회선 ‘훈방’… 위장전입의 두얼굴
현행법상 위장전입은 중(重)한 범죄행위다. 주민등록법 제37조 3항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되어 있다. 적발되면 예외 없이 처벌을 받는다.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2009년 192명, 2010년 105명 등 최근 2년간 297명이 고등학교 배정과 관련, 위장전입으로 적발됐다. 이들 중 위장전입한 거주지에 ‘살아 남은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모두 실거주지로 환원됐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2009년 검찰연감에는 위장전입 등 주민등록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람은 모두 759명이었다. 같은 해 사법연감에는 149명이 재판을 받은 것으로 돼 있다. 2006년 전주에서는 아파트 분양권을 따내기 위해 위장전입한 주민들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법원은 위장전입자 32명에 대해 총 2억 3100만원의 ‘벌금폭탄’을 선고했다.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은 18대 국회의원 선거 때 인천 남동을 지역에 출마하면서 서울에 있던 주민등록을 지역구로 급하게 옮겼다. 허위로 전입신고를 한 대가로 조 의원은 주민등록법 위반으로 벌금 20만원을 선고 받았다. 조 의원실 측은 “죄인지 모르고 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조 의원을 제외한 대부분의 일반인들은 법대로 처벌을 받았다. 하지만 ‘진짜 힘 있는 인사’들은 위장전입을 하나의 ‘훈장’처럼 여긴다. 이번에 문제가 된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 이현동 국세청장 후보자는 모두 자녀 진학을 위해 위장전입을 했다. 땅 투기, 세금 탈루, 논문 표절 등 다른 의혹과 달리 모두 위장전입에 대해서는 ‘깨끗이 시인’하고 있다. 인사철마다 고위공직자, 정치인의 위장전입 문제가 단골 소재처럼 터져 나오지만 ‘잘못했다.’는 말 한마디면 해결된다는 식이다. 이 같은 도덕 불감증은 여당 대표의 입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는 위장전입 문제에 대해 “조그마한 결점을 끄집어내서 흠집내는 청문회는 지양돼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나라당 안형환 대변인도 “위장전입의 시기나 정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며, 그런 합의에 따라 대통령이 지명하면 논란의 여지를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소가 지난 17일 914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85.6%는 위장전입 등 의혹을 받고 있는 후보자에 대해 “도덕성 문제가 직무 수행에 문제가 된다”고 지적했다.

 

홍성태 상지대 사회학과 교수는 “말로만 법치주의를 외치고 정작 본인의 죄는 부인하는 이중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면서 “고위공직자라면 일반 시민보다 위장전입에 대해 더욱 엄격히 처벌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영섭(58)씨는 “자녀를 위한 것이라는 이유로 창피해하지도 않는 것을 보면 어이가 없다.”면서 “같은 죄목으로 일반 시민들만 처벌하면 누가 순순히 받아들이겠나.”라고 말했다. 김새미(27·여)씨도 “권력 있는 사람들은 위장전입해도 아무 문제되지 않는 나라냐.”고 질타했다.

 

이민영기자 min@seoul.co.kr

 

 

2010-08-19  3면

 

 

[민주 여론조사] 84% "신재민 부적격"

신재민-이재훈-진수희-박재완-조현오 순으로 부적격

2010-08-18 20:28:42

 

민주당 자체 여론조사결과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를 가장 부적격이라고 여기는 것으로 18일 드러났다.

민주당 민주정책연구원이 지난 17일 전국 성인남녀 914명을 대상으로 ARS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4.0%가 신 내정자를 가장 부적격하다고 여겼다. '적합하다'는 8.2%에 불과했다.

'부적합하다'는 응답자 가운데, 여당성향이 강한 대구.경북지역(82.3%)과 부산.울산.경남 지역(87.4%)도 높게 나타났으며 한나라당 지지자 중에서도 70.4%가 신 내정자에 대해 부적격하다고 판단했다.

다른 내정자들도 오십보백보였다.

이재훈 지식경제부장관 내정자(77.7%), 진수희 보건복지부장관 내정자(76.4%), 박재완 고용노동부장관 내정자(76.0%),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74.8%), 이현동 국세청장 내정자(74.1%),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장관 내정자(66.2%), 김태호 국무총리 내정자(65.3%)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32.4%가 '스스로 사퇴하거나 지명철회, 법적조치를 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21.9%는 '인사권이 있는 대통령이 각종 불법.탈법행위, 비리.부패 등의 의혹을 받는 내정자를 지명철회해야 한다'고 답했다.

한나라당 지지층 역시 30.6%가 '자진 사퇴'를 요구했으며, 25.9%는 '지명 철회', 16.0%는 '법적 조치'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9.6%는 ‘위장전입’이 내정자의 적격성을 판단하는 데 결정적 기준이 된다고 답했으며 '결정적 기준이 아니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28.1%였다.

내정자의 도덕성 문제가 직무수행에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85.6%가 '문제가 된다'고 답한 반면, 11.7%만이 '직무수행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구간에 ±3.24%p다.
엄수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