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 14. 14:04ㆍlecture
국공립대 등록금도 세계 두번째로 비싼 한국
| |
등록 : 20110913 22:03 | 수정 : 20110914 08:36 |
|
OECD 교육지표 조사
우리나라 국공립대 등록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등 42개국 가운데 둘째로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고등교육 단계에 투입하는 공교육비 규모는 이 기구 가입국 평균의 60% 수준에 그쳤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3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1년 경제협력개발기구 교육지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이 기구가 2009년 통계자료(재정 통계는 2008년 결산)를 활용해 42개국(회원국 34곳, 비회원국 8곳)의 교육여건과 성과 등을 평가한 결과다.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의 고등교육 여건은 세계 최하위 수준이었다. 국공립대 및 대학원(석사과정)의 연평균 등록금은 5315달러로 미국(6312달러)에 이어 조사 대상 국가 가운데 2위에 올랐다. 각각 3위와 4위에 오른 영국(4840달러), 일본(4602달러)보다도 50만~80만원가량 비쌌다.
반면 고등교육 단계에서 정부의 공교육비 부담률은 꼴찌에서 둘째였다. 고등교육 단계에 투입되는 공교육비 가운데 정부재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22.3%로 2000년 23.3%보다 오히려 줄었다. 민간재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77.7%로, 이 기구 가입국 평균의 2.5배나 됐다.
한국 정부가 고등교육 단계에 투입하는 공교육비는 국내총생산(GDP)의 0.6%로 이 기구 평균(1.0%)의 60%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민간이 부담하는 공교육비는 국내총생산의 1.9%로 이 기구 평균(0.5%)보다 4배 가까이 많았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 |
정부투자, 초중고엔 ‘평균’…대학엔 ‘최하위’
| |
등록 : 20110913 21:25 |
|
대학등록금 ‘세계2위’
장학금·학자금 대출 인색…OECD 평균 절반 초중고 학업성취도는 사회계층 무관 ‘최상위’
13일 교육과학기술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1년 경제협력개발기구 교육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한국 정부의 초중등교육에 대한 투자는 OECD 평균에 근접했지만, 고등교육에 대해서는 세계 최하위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교육 투자 인색 한국은 고등교육에 투입되는 전체 공교육비 가운데 70%를 학생과 학부모, 사립학교 재단 등 민간이 부담하고 있었다. 전체 공교육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였고, 이 가운데 민간 부담률이 1.9%에 달했다. 연간 대학 등록금이 1000만원에 육박하는 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정부 부담 비중은 0.6%에 그쳤다. 한국 정부는 장학금이나 학자금 대출 등 학생에게 직접적으로 재정을 지원하는 데도 인색했다. 한국은 고등교육 단계에서 정부가 지출하는 공교육비의 11.4%만을 학생에게 장학금이나 학자금 대출로 지원했는데, 이는 OECD 평균(20.3%)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수치다. 반면 초중등교육 단계에 투입하는 정부의 공교육비 규모는 GDP의 3.4%로 OECD 평균(3.5%)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초·중·고교생의 사교육비를 포함한 초중등교육 단계의 민간 부담 공교육비는 GDP 대비 0.8%로 OECD 평균(0.3%)의 3배 가까이 높았다.
■ 초·중·고 학업성취도는 최상위 초·중·고교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해서는 한국이 사회·경제적인 여건과 상관없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학생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경제적인 여건이 하위 25% 계층에 속하는 학생들 가운데 ‘국제 수준 학업성취도평가(PISA)’의 읽기 영역에서 상위 25%의 성적을 거둔 학생의 비율이 14%로 회원국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같은 조건에서 하위 25% 이내의 낮은 성적을 보인 학생의 비율은 1.3%에 불과해 회원국 가운데 가장 적었다. 한국 학생들의 읽기 성적은 전반적으로 우수해, 하위 25% 성적을 낸 학생들의 평균 점수(495점)도 OECD 평균(450점)보다 45점이나 높았다.
■ 중학교 이하 선거 참여율 최고 OECD 회원국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성별에 따른 고용률 격차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한국은 교육 수준이 고용률 성차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특성화고 졸업생의 경우 남녀의 고용률 격차가 30.1%에 달했으며, 대학교 및 대학원(석·박사)을 졸업한 남녀의 격차도 28.2%나 됐다. OECD 회원국은 이 격차가 17.1%에서 8.6%로 감소했다. 선거 참여율 역시 한국은 중학교 이하 교육 수준에서 가장 높은 참여율(82.0%)을 보여 교육수준에 따라 참여율도 높아지는 OECD 회원국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고등교육을 받은 성인의 선거 참여율은 69.0%에 그쳐, OECD 평균(87.2%)에 크게 못 미쳤다. |
ⓒ 한겨레 (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
등록 : 20110913 21:25 |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수 일가 지분 많을수록 ‘일감 몰아주기’도 많다 (0) | 2011.10.18 |
---|---|
[박정희시대를 연재하며] 김재규 최초 진술 육성 첫 공개 (0) | 2011.10.18 |
기초수급자 17만여명 결국 ‘급여 삭감·탈락’ (0) | 2011.08.18 |
[탈북자의 아메리칸드림] 4) 그들의 땅은 어디에 (0) | 2011.08.18 |
[탈북자의 아메리칸드림] 3) 탈북과 탈남 (0) | 201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