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9. 19. 13:06ㆍa survey of public opinion
앞선 박원순, 바짝 쫓는 나경원…오차범위내 접전
| |
등록 : 20110918 20:30 | 수정 : 20110918 21:35 |
|
〈한겨레〉-KSOI 여론조사 서울시장 후보 지지율
양자대결·선호도 모두 박빙…나경원 맹추격세 박원순, ‘기호2번’ 달아도 지지율 큰 변화 없어
<한겨레>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한사연·KSOI)의 17일 여론조사에선 여권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야권 박원순 변호사의 우세가 확연했다. 두 사람은 지지율 조사와 양자대결에서 모두 오차범위 안의 치열한 접전을 펼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야 출마 후보들을 한꺼번에 놓고 물어본 지지율 조사에선 박 변호사가 28.4%로 25.9%를 얻은 나경원 후보를 다소 앞섰으나 격차는 2.5%포인트에 불과하다. 오차범위(±4.4%포인트) 안이다. 양자대결 조사에선 나 최고위원 46.8%, 박 변호사 48.2%를 기록했다. 이번에도 두 사람의 격차는 오차범위 안인 1.4%포인트다.
박원순 변호사가 야권 단일후보가 아니라 민주당에 입당해 나경원 최고위원과 맞대결할 경우에도 지지율은 각각 47.7%와 46.7%로 나타났다. 민주당 입당이 박 변호사의 지지율에 큰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것이다. 민주당은 박 변호사가 민주당을 비롯한 다른 야당 후보들과 범야권 단일화 경선에서 이길 경우 민주당에 입당해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민주당 지지세력들을 결집하기 위해서는 민주당의 ‘기호 2번’을 달아야 한다는 것이 근거였다. 반면, 박 변호사 쪽은 민주당에 입당하면 지지율이 하락할 것으로 우려해 왔다. 이번 조사만으로 보면, 박 변호사가 민주당에 입당하더라도 지지율이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 변호사가 야권 단일후보로 나섰을 경우 민주당 지지자의 74.5%가, 무당파의 60.9%가 지지의사를 밝혔다. 박 변호사가 민주당 후보로 나섰다고 질문을 바꿀 경우 지지율은 민주당 지지자 쪽에서 5.5%가 늘었다. 반면, 무당파 중 2.9%가 줄었다. 그러나 무당파(171명)가 민주당 지지층(98명)보다 많아 덧셈과 뺄셈은 거의 같은 결과를 낳았다. 윤희웅 한사연 조사분석실장은 “박 변호사의 민주당 입당 효과가 오차범위 이상의 유의미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봤는데 실질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며 “이는 이미 한나라당-비한나라당 구도가 정착됐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목할 점은 나경원 최고위원의 뚜렷한 상승세다. 미디어리서치의 지난 13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양자대결 여론조사에서는 박원순 변호사 46.5%, 나경원 최고위원 36.2%로 나타났다. 미디어리서치의 지난 7일 여론조사에서는 박 변호사는 51.1%의 지지율로, 32.5%에 머문 나 최고위원을 큰 차이로 따돌린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윤희웅 실장은 “박원순 변호사의 경우는 ‘안철수 단일화 효과’가 주춤한 것으로, 나경원 최고위원은 여권 지지층 결집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나경원 최고위원과 박영선 민주당 의원의 양자대결 조사에선 나 최고위원 57.4%, 박 의원 33.3%로 나타났다. 무당파의 박원순 변호사 지지율은 60.9%로 나오는 데 비해 박영선 의원 지지율은 38.9%로 나오는 탓이 컸다.
이석연 전 법제처장과 박원순 변호사가 각각 여야 후보로 맞붙을 경우는 박 변호사가 55.5%로 이석연 전 처장(24.6%)을 두 배 격차로 앞섰다. 윤 실장은 “전체적인 서울시장 보궐선거 구도가 박원순-나경원 구도로 쏠리면서 다른 후보들이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며 “앞으로 당내 경선 등을 통해 주목도와 인지도가 높아지면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
안철수 돌풍 주역은 진보·야당 지지층
| |
등록 : 20110918 20:25 | 수정 : 20110918 21:36 |
|
〈한겨레〉-KSOI 여론조사
박근혜-안철수 지지율 조사 박 50.8%, 안 42.1%로 양자대결 격차 더 커져 여 지지층 위기감에 결집
<한겨레>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의 9월 여론조사는 ‘안철수 돌풍’의 주역이 중도보다 진보, 무당파보다 야당 지지층이었음을 보여준다. 안철수 돌풍으로 입은 타격도 민주당 등 야권에 더 컸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반한나라당 후보’로 인식되면서 야당 쪽 지지세가 쏠리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안철수 원장의 2012년 대선 가상대결에서 박 전 대표는 50.8%, 안 원장은 42.1%의 지지율을 얻었다. ‘모름·무응답’층은 7%다. 출마설 이후 줄곧 우위를 점하던 안 원장이 박원순 변호사와의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6일)를 거쳐 ‘잠복기’로 접어들며 박 전 대표에게 지지율이 역전된 이래 가장 큰 격차다. 둘은 그간 가상대결에서 △6일(CBS) 40.6% : 43.2% △8일(MBC) 32.6 : 59.0 △12일(서울신문) 46.1 : 44.2 △13일(조선일보) 45.2%: 41.2% 등으로 경합했다.
눈에 띄는 대목은 안 원장의 잠복기와 무관하게 야권 지지세력은 본래 자리로 회귀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한겨레>의 6월·9월 여론조사 결과를 견줘보면, 전체 한나라당 지지율은 6월 33.6%에서 9월 35.4%로 올랐으나 민주당은 30.4%에서 22.1%로, 민주노동당은 4.5%에서 2.9%로 30%가량씩 빠져나갔다. 대신 모름·무응답은 27.2%에서 35.2%로 뛰었다. 야당 지지층이 ‘포스트 안철수’를 기대하며, 현재의 판단을 유보하고 있는 결과로 보인다.
대선 양자대결에서 안 원장 지지층의 정당 지지도(복수응답)를 보면, 민주노동당(72.5%), 민주당(62.7%), 무당파(46.6%), 한나라당(18.5%) 순이다. 이념성향도 진보(57%), 중도(45.7%), 보수(23.2%) 순이었다. 안철수 돌풍이 중도·무당파보다 민주당과 진보정당 지지층에 기댄 측면이 컸던 셈이다.
대세론이 흔들린 것으로 평가된 박근혜 전 대표의 지지율은 지난달보다 오히려 올랐다. 박 전 대표는 다자간 경쟁구도에서 8월 33.9%, 이번에는 38.9%를 얻었다. 박 전 대표를 지지한 이들의 성향도 한나라당 지지층이 51.4%에서 61.6%로, 보수층이 42%에서 51.5%로 크게 뛰었다. 안철수 돌풍으로 인한 위기감이 전통 지지자층의 견고한 결집을 불러온 셈이다.
안철수 돌풍에다 박 전 대표의 지지율도 올라가면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지지율이 8월 7.2%에서 9월 8.8%로 소폭 상승한 것을 빼곤 다른 대선주자들은 예외 없이 지지율 누수를 맛보았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6.5%에서 5.2%,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는 4.5%에서 2.8%,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는 4.6%에서 2.7%로, 김문수 경기지사는 6.1%에서 3.8%로 지지율이 떨어졌다.
안철수 원장의 향후 행보에 대해선 ‘제3의 정치세력화’보다는 ‘정치권과 거리 두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원장이 ‘조기에 정치세력화를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18.3%)보다 ‘특정 정치세력에 몸담지 않고 정치권과 거리를 둬야 한다’(69.9%)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
ⓒ 한겨레 (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
등록 : 20110918 20:25 | 수정 : 20110918 21:36 |
'a survey of public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마이뉴스-미래연 정기조사] (0) | 2011.10.10 |
---|---|
[오마이뉴스-미래연 조사] (0) | 2011.09.28 |
[중앙일보 여론조사] (0) | 2011.09.19 |
[한국일보 여론조사] (0) | 2011.09.19 |
[국민일보 여론조사] (0) | 201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