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인용] 등록 사업자 650만곳 돌파..패스트푸드점 개업 늘어
2015. 10. 28. 13:48ㆍlecture
등록 사업자 650만곳 돌파..패스트푸드점 개업 늘어
(세종=뉴스1) 김명은 기자 = 국내 패스트푸드점 사업자가 크게 증가한 반면 PC방 사업자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학원은 서울 강남구, 옷가게는 서울 중구에 집중되는 등 특정업종 밀집지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세청은 정부기관의 정책수립과 예비사업자의 창업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전국 시·군·구별 사업자등록 통계를 공개했다.
국세청은 그동안 매년 12월 국세통계연보를 통해 업종별 사업자등록 현황을 시·군·구 구별없이 개괄적으로 공개해왔으나 앞으로는 지역별로 나눠 매월 공개하기로 했다.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전체 사업자 수는 661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6% 증가했다. 이 가운데 개인은 88.2%(582만9000명), 법인은 11.8%(78만1000명)를 차지했다.
업태별 사업자 수를 보면 부동산임대업이 141만명(21.3%)으로 가장 많고, 소매업이 87만6000명(13.2%), 음식업은 70만1000명(1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 사업자 수 증가폭은 부동산임대업(9만5000명), 소매업(3만9000명), 음식업(2만9000명) 순으로 높았으며, 증가율은 전기·가스·수도업(61.1%), 부동산매매업(19.7%), 대리·중개·도급업(12.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58만6000명(24.0%)으로 가장 많고, 서울시 153만5000명(23.2%), 부산시 42만9000명(6.5%)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 사업자 수 증가율은 세종시(28.0%), 제주도(11.8%), 충청남도(6.3%) 순으로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사업자 413만8000명(62.6%), 여성사업자 246만3000명(37.3%)으로 남성이 다수를 차지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 사업자 수 증가율은 여성(6.7%)이 남성(4.9%)보다 높아 여성의 비중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연령별 사업자 수 비중은 50대(32.1%), 40대(28.5%), 60대(16.0%) 순으로 높았다.
사업체의 존속연수별 비중을 보면 '5년~10년'이 21.6%로 가장 많고, '10년~20년'(21.3%), '3년~5년'(13.6%) 순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분류한 30개 생활밀접업종 사업자는 144만6000명으로 전체 사업자의 21.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동월에 비해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업 가운데 패스트푸드점은 전년 동월에 비해 12.6% (2만7536명→3만994명), 제과점은 6.5%(1만2890명→1만3726명), 일반음식점은 3.4%(48만773명→49만7169명) 증가했다. 반면 일반주점은 0.9%(6만1504명→6만945명) 감소했다.
소매업 가운데 실내장식가게(12.2%, 3만4570명→3만8800명), 편의점(10.0%, 2만6939명→2만9633명)이 크게 증가한 반면 휴대폰판매점(2.2%, 1만9059명→1만8645명)은 감소했다.
서비스업 가운데 PC방은 4.2%(1만1319명→1만842명) 감소했고, 청소년 관련 업종에선 문구점과 서점이 각각 3.3%(1만1056명→1만694명), 0.3%(7980명→7960명) 감소했다.
전국 254개 시·군·구 기준으로 특정업종의 밀집지역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습학원(1464명), 문구점, 미용실, 부동산중개업소, 예체능학원(954명), 일반음식점 등 11개 업종은 서울 강남구의 사업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 중구에는 옷가게(2543명)와 안경점(185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정보는 국세통계 전용누리집(stats.nts.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drama@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또한 학원은 서울 강남구, 옷가게는 서울 중구에 집중되는 등 특정업종 밀집지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국세청은 정부기관의 정책수립과 예비사업자의 창업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전국 시·군·구별 사업자등록 통계를 공개했다.
국세청은 그동안 매년 12월 국세통계연보를 통해 업종별 사업자등록 현황을 시·군·구 구별없이 개괄적으로 공개해왔으나 앞으로는 지역별로 나눠 매월 공개하기로 했다.
전국 사업자 수 증감 현황=국세청 © News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국세청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현재 전체 사업자 수는 661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6% 증가했다. 이 가운데 개인은 88.2%(582만9000명), 법인은 11.8%(78만1000명)를 차지했다.
업태별 사업자 수를 보면 부동산임대업이 141만명(21.3%)으로 가장 많고, 소매업이 87만6000명(13.2%), 음식업은 70만1000명(1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 사업자 수 증가폭은 부동산임대업(9만5000명), 소매업(3만9000명), 음식업(2만9000명) 순으로 높았으며, 증가율은 전기·가스·수도업(61.1%), 부동산매매업(19.7%), 대리·중개·도급업(12.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58만6000명(24.0%)으로 가장 많고, 서울시 153만5000명(23.2%), 부산시 42만9000명(6.5%)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 사업자 수 증가율은 세종시(28.0%), 제주도(11.8%), 충청남도(6.3%) 순으로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사업자 413만8000명(62.6%), 여성사업자 246만3000명(37.3%)으로 남성이 다수를 차지했다.
다만 전년 동월 대비 사업자 수 증가율은 여성(6.7%)이 남성(4.9%)보다 높아 여성의 비중이 증가 추세를 보였다.
연령별 사업자 수 비중은 50대(32.1%), 40대(28.5%), 60대(16.0%) 순으로 높았다.
사업체의 존속연수별 비중을 보면 '5년~10년'이 21.6%로 가장 많고, '10년~20년'(21.3%), '3년~5년'(13.6%) 순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분류한 30개 생활밀접업종 사업자는 144만6000명으로 전체 사업자의 21.9%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년 동월에 비해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업 가운데 패스트푸드점은 전년 동월에 비해 12.6% (2만7536명→3만994명), 제과점은 6.5%(1만2890명→1만3726명), 일반음식점은 3.4%(48만773명→49만7169명) 증가했다. 반면 일반주점은 0.9%(6만1504명→6만945명) 감소했다.
소매업 가운데 실내장식가게(12.2%, 3만4570명→3만8800명), 편의점(10.0%, 2만6939명→2만9633명)이 크게 증가한 반면 휴대폰판매점(2.2%, 1만9059명→1만8645명)은 감소했다.
서비스업 가운데 PC방은 4.2%(1만1319명→1만842명) 감소했고, 청소년 관련 업종에선 문구점과 서점이 각각 3.3%(1만1056명→1만694명), 0.3%(7980명→7960명) 감소했다.
전국 254개 시·군·구 기준으로 특정업종의 밀집지역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습학원(1464명), 문구점, 미용실, 부동산중개업소, 예체능학원(954명), 일반음식점 등 11개 업종은 서울 강남구의 사업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 중구에는 옷가게(2543명)와 안경점(185명)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정보는 국세통계 전용누리집(stats.nts.go.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drama@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 인용] 헤어지면 성숙해지나요? (0) | 2015.12.20 |
---|---|
[기사 인용] 완전 해부! 김정은 시대 북한 군부 파워엘리트의 변화 (0) | 2015.12.08 |
[기사 인용] BBC '북한이 바뀌고 있다..서서히 다가오는 자본주의' (0) | 2015.10.14 |
[기사인용] 김정은 인사 스타일…젊은 리더는 젊은 인재를 좋아해? (0) | 2015.10.14 |
기사인용] 7480만 '밀레니얼 세대', 美대선 캐스팅 보트로 (0) | 2015.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