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4)
-
미국 대선 : 버니 샌더슨의 열풍, 한국에게 어떤 의미일까?
영국 노동당의 코빈(Jeremy Bernard Corbyn) 열풍, 미국 민주당의 샌더스(Bernie Sanders) 열풍 등 진보적 가치를 주장하는 누군가가 선전하면, 한국의 진보진영은 거의 ‘팬덤(fandom) 현상’이 발생한다. 코빈의 열풍도 따지고 보면 영국 보수당 집권 하의 노동당 내부의 반란이었으며, 미국 민주당..
2016.02.09 -
[PNC report] 한국 복지수준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OECD 통계분석 2 - 한국 복지수준의 국제비교 및 시사점 (1월21일) P&C리포트 (2011/01/21) Snap1[65].jpg Snap2[61].jpg Snap3[59].jpg Snap4[50].jpg Snap5[46].jpg Snap6[37].jpg Snap7[32].jpg Snap8[31].jpg Snap9[25].jpg Snap10[20].jpg Snap11[20].jpg Snap12[14].jpg Snap13[13].jpg Snap14[12].jpg Snap15[10].jpg Snap16[9].jpg Snap17[9].jpg Snap18[9].j --> OECD 통계분석 2 : 한..
2011.01.23 -
[월러스틴의 '논평'] 스웨덴 사민당의 패배와 영국 노동당의 선택
"'운동'이길 포기한 사민주의, 미래는 없다" [월러스틴의 '논평'] 스웨덴 사민당의 패배와 영국 노동당의 선택 기사입력 2010-10-05 오후 4:48:27 --> 사민주의에 미래는 있는가? 지난달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에 관한 두 가지 중요한 사건이 눈길을 끌었다. 먼저 9월 19일 스웨덴 사민당이 선거에서 참..
2010.10.06 -
북한 권력기구 201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