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9. 28. 13:51ㆍa survey of public opinion
‘한겨레’ 여론조사 개헌 찬성 58%-반대 36%, 이 대통령 지지율 45% | |
![]() |
![]() ![]() |
국민의 절반 이상이 정운찬 국무총리 후보자가 총리직을 수행하기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가 국회 인사청문 절차가 끝난 직후인 지난 26일 ‘리서치플러스’에 맡겨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 58.3%가 소득세 탈루 등 도덕성 문제를 들어 정 후보자의 총리직 수행에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청문회에서 드러난 문제들이 총리직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의 흠결은 아니다”라는 응답은 35.6%에 그쳤다.
청문회에서 드러난 장관 후보자들의 위장전입과 부동산 다운계약서 작성 등의 행위에 대해서도 공직을 수행하기에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66.9%에 이르렀다. 범죄의식 없이 이뤄진 과거의 관행적 행위이므로 공직 수행에 문제가 없다는 의견은 32.6%에 머물렀다.
개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찬성한다는 의견이 58.3%로, 반대 의견 36.0%보다 우세했다. 개헌을 할 경우 바람직한 권력구조가 무엇이냐는 물음엔 ‘4년 중임 대통령제’가 50.8%로 가장 높았고, 이어 분권형 대통령제(20.9%), 내각제(14.9%), 현행 5년 단임제(3.4%) 순이었다.
이명박 대통령 국정운영 지지율은 45.3%로, 두달 전인 7월25일 조사 때의 29.3%보다 16%포인트나 올랐다. 정당 지지율은 한나라당 34.4%, 민주당 25.0%, 친박연대 5.0%, 민주노동당 3.6%, 자유선진당 2.5%, 진보신당 2.1%, 창조한국당 1.8%였다. 지지 정당이 없다거나 모름·무응답이라는 답변은 25.6%였다.
정부가 22조원을 들여 추진하고 있는 4대강 개발사업에 대해서는 현행대로 계속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30.7%인 반면, ‘국민적 공감대를 얻을 때까지 서두를 필요 없다’ 37.5%, ‘대운하나 마찬가지이므로 즉각 중단해야 한다’ 29.9%로 조사돼, 유보하거나 중단해야 한다는 응답이 67.4%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 19살 이상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방식으로 이뤄졌다. 오차한계는 95% 신뢰수준에서 ±3.7%포인트, 응답률은 16.2%였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
‘한겨레’ 여론조사 북한에 쌀지원 찬성 56.6% | |
![]() |
![]() ![]() |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은 지난해 7월 박왕자씨 피격 사건으로 중단된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해 우리 정부가 먼저 나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국내 남는 쌀을 북한에 지원하자는 데도 찬성 의견이 많았다.
금강산 관광과 관련해 응답자의 42.3%가 “정부가 먼저 남북회담을 제의해야 한다”고 답했다. 지난달 현대그룹과 북한이 금강산 관광 재개 및 신변안전보장에 합의한 만큼, 정부도 금강산 관광 재개 방침을 선언해야 한다는 의견도 16.9%였다. 반면 “북쪽이 공식적으로 사과할 때까지 금강산 관광을 재개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은 38.8%였다.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자세를 주문하는 여론이 많은 것이다.
북한 쌀 지원과 관련해서는 “(국내 쌀 재고가 늘어 쌀값 하락 등이 우려되는) 남쪽 농민과 식량난을 겪고 있는 북쪽 주민 모두에 좋은 일이므로 찬성한다”는 응답자가 전체의 56.6%에 이르렀다. 응답자의 42.8%는 “(남쪽 쌀값 하락과 북의 식량난은) 전혀 별개의 문제이므로 대북 쌀지원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
‘한겨레’ 여론조사 한나라 지지층 찬성 많아 충청은 개헌반대에 무게 | |
![]() |
![]() ![]() |
우리 국민의 절반 이상이 개헌을 찬성하고 있으며, 권력구조에 대해서는 4년 중임 대통령제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23.8%는 ‘현행 5년 단임제는 문제가 많기 때문에 개헌을 찬성한다’고 답했으며, 34.5%는 ‘5년 단임제도 괜찮지만 개헌에 찬성한다’고 말해, 전체의 58.3%가 개헌을 지지했다. 반면에 22.1%는 ‘현재 논의는 정치권의 정략이므로 반대한다’고 했으며, 13.9%는 ‘정략이 아니더라도 개헌 자체에 반대한다’고 답했다.
개헌 찬성론은 한나라당 지지층(68.9%)에서 유난히 높았다.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찬성(49.3%)과 반대(46.7%)가 팽팽했다. 지역별로는 영남이 65.5%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수도권 59.3%, 호남권 51.2%로 나타났다. 반면 충청지역은 개헌 찬성이 43.2%에 불과했으며, 반대 의견이 50.1%로 더 많았다. 충청권에서는 개헌을 정략적으로 보는 견해(31.3%)도 다른 지역에 비해 훨씬 높았다. 임상렬 리서치플러스 대표는 “세종시 문제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함께 얽혀 충청권에서 권력구조 개편을 정략적으로 보는 비판적인 시각이 높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권력구조에 대해선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선호하는 의견(50.8%)이 분권형 대통령제(20.9%)보다는 갑절 이상, 내각제보다는 3배 이상 높았다. 국회의장 직속의 헌법연구자문위원회가 최근 바람직한 권력구조 방안으로 분권형 대통령제를 제시했던 것과 다른 흐름이다. 한나라당 지지층에서 4년 중임 대통령제 선호도가 높다는 점도 눈에 띈다. 한나라당 지지층의 61.3%가 4년 중임제를 선호한 반면, 민주당 지지층에서는 44.0%만이 4년 중임제를 지지했다.
이정애 기자 hongbyul@hani.co.kr |
'a survey of public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향신문-KSOI 여론조사(09-11-04) (0) | 2009.11.06 |
---|---|
한겨레 여론조사(2009-11-02) (0) | 2009.11.02 |
CBS-리얼미터 여론조사: 2008년 11월 7일 (0) | 2008.11.07 |
KSOI 2008년 10월 20일 여론조사 결과 개요 (0) | 2008.10.22 |
KSOI_081015_세금관련 주장 공감도 (0) | 2008.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