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2. 28. 09:09ㆍlecture
[해설] 한국, PISA(국제학업성취도 평가) 최상위권
(2010년 12월 8일자)
■ 한국 중등교육 매우 높은 학업성취도 보여
- 2009년 OECD 주관하에 65개국 (OECD 34개국 포함)에 걸쳐 실시된 PISA 결과 OECD 평균보다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인 국가는 상해(중국), 한국, 핀란드, 홍콩(중국), 싱가포르, 캐나다 등임
; 이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국가는 키르기스탄, 아제르바이젠, 페루, 파나마, 카타르, 멕시코
등임
; OECD 국가 중에서는 한국과 핀란드가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함
; 이번 조사에 처음 참여한 상해(중국)가 전 부문에 걸쳐 1위를 차지함
; 참고로 PISA는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에 나가 성인으로서 생산적인
역할을 할 준비가 돼 있는가 하는 소양을 측정하는 것임 (평가대상은 만 15세임)
- 한국은 읽기 (글 이해력), 수학, 과학 등 3가지 모든 부문에서 OECD 평균 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읽기는 2~4위, 수학 3~6위, 과학 4~7위를 기록함 (95% 신뢰 수준에서의 순위 범위)
; 부문별로 살펴보면 읽기는 OECD 평균 493점보다 46점 높은 539점으로 2~4위를 기록함
; 수학은 546점으로 OECD 평균인 496점보다 높으며, 3~6위로 나타남
; 과학은 538점으로 역시 OECD 평균인 501점 보다 높으며, 4~7위로 나타남
※ PISA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는 OECD 주
도로 회원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이 공동으로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를 말하는데,
의무교육 종료시점에 있는 만15세 학생들의 읽기 (글 이해력), 수학, 과학 영역의 성취수준을 평
가해 각국 교육의 성과를 비교․점검하는 것을 목표함.
점수는 난이도와 평균 점수 등에 따라 원 점수를 변형, 표준점수를 매기기 때문에 만점은 없으며,
전체 평균 점수를 500점으로 맞춤 (표준편차 100인 척도점수).
PISA는 장기 연구프로젝트로 1998년부터 3년 주기로 4차에 걸쳐 평가가 실시되었는데 OECD 회
원국은 국가단위로 참여하고, 비 OECD 국가는 국가단위 또는 도시단위로 참여함
[ 한국 및 주요국 PISA 2009 평가 현황]
- 참고로 한국의 역대 PISA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한국, 우수학생 비율도 매우 높아
- 읽기, 수학, 과학 등 3과목 모두에서 한국의 우수학생 비율 (레벨 5와 레벨 6 도달 학생)은 조사국가 전체는 물론 OECD 국가 중에서 최상위 수준임
; 조사국가 전체적으로는 상해(중국)이 압도적 1위를 나타냈으며,
; OECD 국가 중에서는 핀란드가 한국과 수위를 다투는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은 수학 부문에서의 우수학생 비율이 25.5%로 높게 나타났으나, 읽기(12.9%)와 과학(11.6%)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나타냄
; 상해(중국)의 경우 3부문 모두에서 우수학생 비율이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수학부문에서의 우
수학생 비율이 50.4%로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음
[ 한국 및 주요국 PISA 2009 우수학생 현황 ]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 한국, 사적 교육비 부담률 OECD 1위 (0) | 2010.12.28 |
---|---|
[해설] 한국 대학진학률, OECD 12위 (0) | 2010.12.28 |
[해설] 한국 노동시간, OECD 국가 중 최고 (0) | 2010.12.28 |
[해설] 한국 자영업자 비율, OECD 평균치 두배 (0) | 2010.12.28 |
[해설] 한국 고용률, OECD 평균에 못 미쳐 (0) | 201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