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설] 한국 대학진학률, OECD 12위

2010. 12. 28. 09:10lecture

 

 

[해설] 한국 대학진학률, OECD 12위

                (2010년 12월 8일자)

 

 

 

■ 한국, 대학진학률 61%

 

- OECD 국가들의 중등교육 졸업자 (Secondary education) 중 대학진학률 (전문대학+대학교)은 56%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 중등교육 이수자 중 대학진학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호주로 86%임
   ; 이외에도 대학진학률이 높은 국가들은 폴란드 (78%), 뉴질랜드 (76%), 슬로바키아 (74%), 아이

     슬란드 (73%), 핀란드 (71%) 등임
   ; 이에 비해 대학진학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터키 (29%)이며, 이외에도 벨기에 (30%), 멕시코

     (32%), 독일 (34%) 등으로 나타남

 

-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61%로 OECD 국가 중에서 12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일본 (46%)에 비해서는 높은 대학진학률을 보이고 있으며, 미국 (65%)과는 비슷한 수준임
   ; 한편, 한국의 대학진학률은 2000년 ~ 2007년 기간 동안 이전에 비해 16% 가량 수직상승함

 

 

[ 한국 및 OECD 주요국 대학 진학률 ] (단위 : 중등교육 이수자 중 대학진학자 비율 (%))


 

 

 

 

■ 한국, 세대별 학력 격차 OECD 국가 중 가장 커

 

- OECD 국가들의 고등교육 이수 (대학 이상 졸업) 수준은 평균 27.5% 수준임 (25~64세 인구)
   ; 고등교육 이수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캐나다로 48.3%이며, 다음으로 일본 (41%), 뉴질랜드

     (41%), 미국 (40.3%) 등임
   ; 고등교육 이수율이 가장 낮은 국가는 10.8%를 기록한 터키이며, 다음으로 체코 (13.7%), 이탈리

     아 (13.6%), 포르투갈 (13.7%), 슬로바키아 (14.1%) 등임
   ; 한국은 34.6%로 OECD 평균 보다 높은 수준을 보임

 

- OECD 국가 모두에서 고등교육 이수에 대한 세대간 격차가 나타났는데 연령이 높아질수록 고등교육 이수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은 OECD가 세대별 학력 격차의 단적인 예로 들만큼 학력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 25~34세와 55~64세간 고등교육 이수 비율이 각각 55.5% vs 10.9%로 그 격차가 무려 44.6%p로

     나타났는데, 이는 OECD 평균 (14.1%p) 보다 30.5%p나 높은 수준임
   ; 한편, 한국 청년층 (25~34세)의 대졸이상 학력소지자는 OECD 국가 가운데 2번째로 높은 55.3%

     임
   ; OECD 국가 가운데 청년층의 대졸이상 학력소지자가 가장 높은 국가는 캐나다임 (55.8%)


align=baseline

 

 

[ 2007년 한국 및 OECD 주요국 세대별 고등교육 이수 현황 ]

                                                                         (단위 : 전체 인구 중 고등교육 인구 비율(%))


align=baseline

 

 

 

 

※ 본 내용은 'P&C리포트 -> 원본다운로드' 코너에서 아래아 한글 원본과 PDF 파일, 그리고 OECD 보고서 영문 원본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