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2. 28. 09:15ㆍlecture
[해설] 2010년 한국 CPI 상승률, OECD 평균치 상회
(2010년 12월 27일자)
■ 한국 2006~2008년 CPI 상승률, OECD 평균 수준
- 2006 ~ 2008년 기간 중 OECD 국가들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상승률을 살펴보면 헝가리, 아이슬랜드, 터키를 제외한 모든 국가들이 4.5% 미만을 기록함
; CPI 상승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터키로 3년간 평균 상승률이 9.6%에 달함
; CPI 상승률이 가장 낮은 국가는 일본으로 3년간 평균 0.9% 밖에 오르지 않음
- OECD 평균치 보다 CPI 상승률이 낮은 국가들(그래프 좌축)은 체코를 제외하면 모두 G8 및 서유럽 국가들로 선진국 대열이 있는 나라들임
; 반면, OECD 평균치 우축에 있는 나라들은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 호주, 그리스, 스페인 등이
속해있으며, 우측으로 갈 수로 BRICs 국가들을 포함한 동유럽 국가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 CPI (Consumer Price Index) : 가격 인플레이션에 따른 삶의 질 악화정도를 측정하는 공식 통
계. 도시 소비자들이 많이 소비.지출하는 품목을 조사대상에 넣는데, 2006년 현재 품목수는 516개
임. CPI 지수는 세부적으로 식품 CPI, 에너지 CPI, 기타 CPI (총 품목 중 식품.에너지 품목을 제
외한 나머지) 등으로 구성됨
■ 2010년 10월 한국 CPI 상승률, OECD 평균치 두배 상회
- 2010년 10월 한국 CPI 상승률은 OECD 평균치인 1.9%의 두배를 상회함 (전년 동월 대비)
; 2008년까지는 OECD 평균과 비슷한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2009년 부터는 평균치를 상회하고 있
음
; 2009년 OECD 평균 CPI 상승률은 0.5%에 불과했으나 한국은 2.8%를 기록했으며
; 2010년에도 한국은 OECD 평균을 웃도는 CPI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음
- 2006~2008년 기간 중 가장 낮은 CPI 상승률을 나타낸 일본은 2010년에도 마이너스 CPI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가장 안정적인 물가를 유지하고 있음
; G7 국가 중에서는 영국이 비교적 높은 CPI 상승률을 보이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
[ 한국 및 OECD 주요국 CPI 상승률 ] (단위 : %, 전년 동기대비)
[ BRICs의 CPI 상승률 ] (단위 : %, 전년 동기대비)
■ 최근 한국의 높은 CPI 상승률, 식품관련 가격 상승이 주 요인
- OECD 전체적으로 CPI는 1995년 이후 하향 안정세를 유지해 왔으나, 금융위기 여파가 본격화된 2008년은 상승세를 보임
- CPI 추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식품과 기타 품목의 가격은 안정적인데 비해 에너지 가격의 변동 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 식품관련 물가지수는 하향 안정세를 유지하다 2005년을 기점으로 상승세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변동 폭이 크지 않음
; 이에 비해 에너지 관련 물가지수는 그 등락 폭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남
- 한편, 최근 한국의 높은 CPI 상승률은 식품관련 가격 상승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 식품관련 CPI 지수는 2009년에도 7.6% 상승률을 보인데 이어 2010년에도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
하면서 전체 CPI 상승률을 추동함
[ 한국 및 OECD 주요국 품목별 CPI 상승률 ] (단위 : %, 전년 동기대비)
※ 본 내용은 'P&C리포트 -> 원본다운로드' 코너에서 아래아 한글 원본과 PDF 파일, 그리고 OECD 보고서 영문 원본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 한국, 10년 만기 국채금리 지속적 하락세 (0) | 2010.12.28 |
---|---|
[해설] 한국 급여상승률, OECD 평균보다 높아 (0) | 2010.12.28 |
[해설] 한국 FDI(외국인직접투자), GDP 10% 미만 (0) | 2010.12.28 |
[해설] 한국, 무역의 GDP 기여도 53.5% (0) | 2010.12.28 |
[해설] 한국, 사적 교육비 부담률 OECD 1위 (0) | 201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