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12. 28. 09:14ㆍlecture
[해설] 한국 FDI(외국인직접투자), GDP 10% 미만
(2010년 12월 22일자)
■ 한국 GDP 대비 FDI 규모, OECD 1/3 수준
- 2007년 OECD 회원국 전체 FDI는 GDP 대비 31%까지 성장했으며, 금액으로는 1조 5,380억 달러임
; OECD 회원국 중 가장 활발한 FDI를 보인 국가는 아이슬란드임 (스톡 기준)
; 아이슬란드의 FDI 유출은 GDP 대비 241.6%이고, 유입은 106.2%를 기록함 (2007년)
; 반면 FDI가 가장 취약한 나라는 미국으로 FDI 유출은 2.6%이고 FDI 유입은 1.9%에 그침
- 그러나 양적으로는 GDP 세계 1위인 미국의 FDI 유출.입 금액이 가장 많음
; 미국의 FDI 유출.입 금액은 아이슬란드보다 10배 이상 높음
※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 ‘외국인 직접투자’로 번역되는데 한 나라의 기업 또는 개인이
다른 나라에서 새로운 사업체를 설립하거나 기존 사업체의 인수를 통하여 이를 통제할 수 있는
투자지분을 획득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직접 경영에 참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투자하는 것을 말
함. 지적재산권과 부동산 등 모든 형태의 유.무형 자산이 이전되어 부를 창조할 목적으로 이뤄지
는 투자를 포함함
- 한국의 FDI 규모는 OECD 전체에 비해 1/3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 2007년 OECD 전체 FDI 유출은 GDP 대비 34.0%, FDI 유입은 28.1%임
; 이에 비해 한국의 FDI 유출은 5.8%, FDI 유입은 9.4%에 불과함
; 금액으로는 FDI 유출 748억 달러, FDI 유입 1,220억 달러임
- OECD 외적으로는 중국의 FDI 유.출입이 매우 큰 편임
; 중국의 FDI 유입은 7,037억 달러에 달하고 있으며, FDI 유출은 이에 못미치는 1,160억 달러 수준
임
[ 한국 및 OECD 주요국 FDI 스톡 현황 ] (단위 : 미화 100만 달러)
[ BRICs의 FDI 스톡 현황 ] (단위 : 미화 100만 달러)
※ 스톡 (Stoks)과 플로우 (Flow)는 경제학 용어인데, 스톡은 저량(貯量)으로 비축.존재량을 말하며
어떤 특정시점에 경제조직에 존재하는 재화 전체의 양을 말함. 플로우는 유량(流量)으로 일정기간
동안 경제 조직 속에 흐르는 재화의 양을 의미함
■ 한국의 최근 FDI 플로우, 유입은 줄어들고 유출은 늘어나
- 2006~2008년 기간 동안 양적으로 FDI 유.출입이 가장 큰 나라는 미국으로 나타났는데, 2008년 한해동안 FDI 유입은 3,197억 달러였고, FDI 유출은 3,320억 달러로 나타남 (플로우 기준)
; FDI 유입이 큰 국가는 미국의 뒤를 이어 영국, 룩셈부르크, 중국, 프랑스 등임
; FDI 유출이 큰 국가는 미국의 뒤를 이어 프랑스, 영국, 룩셈부르크, 독일 등임
- 한국은 FDI 유.출입 모두 매우 미비한 수준을 보이고 있는데, 최근 한국의 FDI 플로우는 이전에 비해 유입은 줄어들고 유출은 급증하는 양상임
; 2008년 한해 동안 FDI 유입은 22억 달러이고, FDI 유출은 128억 달러로 나타남
; 즉, 한국 입장에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는 줄어드는데 비해 한국 기업 및 개인의 해외직접투자
는 늘어가고 있음
; 참고로 스톡 기준으로 2007년 현재 FDI 유입이 유출보다 많게 나타난 이유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과 2000년의 FDI 유입 (플로우)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유입된 FDI는 각
각 93억3천만 달러, 92억 8천만 달러로 최근에 비해 매우 많이 유입됨
- 한편, 2008년에 시작된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 여파로 FDI 플로우는 급속히 둔화되고 있음
; 2008년 한해만 보더라도 OECD 전체적으로 FDI 유입은 35% 하락했으며, FDI 유출은 19% 하락함
(전년 대비)
; 2009년 상반기에는 FDI 플로우가 더욱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FDI 유입은 50% 하락했으며,
FDI 유출은 40% 하락함 (2008년 4/4분기 대비)
[ 한국 및 OECD 주요국 FDI 플로우 현황 ] (단위 : 미화 100만 달러)
[ BRICs의 FDI 플로우 현황 ] (단위 : 미화 100만 달러)
※ 본 내용은 'P&C리포트 -> 원본다운로드' 코너에서 아래아 한글 원본과 PDF 파일, 그리고 OECD 보고서 영문 원본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설] 한국 급여상승률, OECD 평균보다 높아 (0) | 2010.12.28 |
---|---|
[해설] 2010년 한국 CPI 상승률, OECD 평균치 상회 (0) | 2010.12.28 |
[해설] 한국, 무역의 GDP 기여도 53.5% (0) | 2010.12.28 |
[해설] 한국, 사적 교육비 부담률 OECD 1위 (0) | 2010.12.28 |
[해설] 한국 대학진학률, OECD 12위 (0) | 2010.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