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12. 23. 15:16ㆍa survey of public opinion
7090세대의 정체
| |
등록 : 20111220 20:34 |
|
‘7090세대 삶과 가치관’ 심포지엄
불안 직장 불안정해 미래 삶의 질 40점
장벽 경제불균형 해결이 우선과제 24% 공생 비정규직 위해 임금인상 포기 48%
이른바 ‘386세대’는 어느덧 ‘486세대’가 되었고, 이제는 그 바로 뒷세대가 30대가 되어 우리 사회의 허리를 이루고 있다. 70년대에 태어나, 대학에 진학했다면 90년대 학번인 이 세대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노동층이며 최대의 납세층이기도 하다. 이들은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박원순 후보에게 4명 가운데 3명꼴로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민주화 뒤 등장한 이들 세대는 서태지와 아이들, 아이엠에프(IMF) 사태 등 다양한 경험을 공유하고 있지만, 세대 전체를 아우르는 특징은 뚜렷하게 정의된 바 없었다. 이들이 처음 등장했을 때 ‘뭔지 모를 모호한 세대’라서 붙은 ‘엑스(X)세대’가 아직까지도 이들에게 가장 잘 어울리는 명칭인지도 모른다.
이 ‘7090세대’에 대해 흥미로운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청년통일문화센터 푸른공감과 민주네트워크 소통과공감은 지난 17일 ‘7090세대의 삶의 질과 가치관 분석 심포지엄’을 열어 10개월간 이들 ‘7090세대’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서울·수도권·충청도에 거주하면서 직장에 다니고 있거나 자영업에 종사하며, 1970~79년 태어나 1990~99년 대학에 입학한 509명을 표본으로 삼았다.
우선 7090세대는 현재 삶의 질에 대해 평균 정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지만, 앞으로 다가올 삶의 질에 대해서는 불안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선택하게 한 결과, 현재 삶의 질은 정치 및 사회 전반(2.04)을 제외한 7개 영역에서 모두 평균 수준인 3점 근처에 머물렀다. 그러나 앞으로의 삶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2점 근처로 만족도가 내려앉았다. 발표를 맡은 이상동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연구센터장은 “현재 삶에 대한 만족은 가정으로부터, 불만족은 정치·사회 전반으로부터 비롯되고 있으며, 미래에 대한 불안은 불만족스러운 사회경제적 조건과 직장에 대한 확신을 갖지 못한다는 데에서 비롯된다”고 풀이했다.
눈에 띄는 대목은 응답자의 85.1%가 비용이 들더라도 사회적 평등을 강화하는 정책을 지지한다고 밝힌 점이다. 62.5%가 ‘사회안전망이 최소 수준에서 기능하고 있다’, 17.5%가 ‘전혀 기능하지 못하고 있다’고 대답하는 등 현재 사회안전망에 대한 불만이 컸다. 보편적 무상복지에 대해 기본적으로 찬성하는 입장도 86%로 압도적으로 나타났다. 7090세대는 직장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임금수준(22.4%)을 꼽았다. 능력·경험과 업무 사이의 궁합(20.2%), 고용안정·고용보장(16.3%), 원만한 대인관계(13.9%) 등이 뒤를 이었다. 능력과 업무의 궁합을 중시하는 것은 고용안정이나 인간관계를 더 중시했던 이전 세대와 달라진 점이다. 직장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95점으로 나타났고, 특히 고용안정, 경영방침, 직장의 가정배려 등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
임금과 다른 근로조건들의 가치를 비교한 질문은 가장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임금인상 10%를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는데, 다른 근로조건 개선을 대가로 임금인상을 포기할 수 있는지’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50.9%가 근로시간 단축 및 복리후생 증진을 대가로 임금인상을 포기할 수 있다고 대답했다. 또 48%는 비정규직의 처우개선을 대가로, 39%는 신규 고용창출을 대가로 자신의 임금인상분을 포기하겠다고 대답했다. 발표를 맡은 류성민 경기대 교수는 “물질적인 임금보다도 적절한 노동강도와 복리후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일자리 부족 문제, 청년실업 문제, 비정규직 문제 등에 대해 자신의 몫을 나눠서라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고 풀이했다.
응답자들은 한국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경제적 불균형의 심화’(23.6%)를 꼽았다. 민주주의 발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긍정적 세력으로는 ‘국민·시민·민중’(11.2%)을, 부정적 세력으로는 ‘친일파’(16.5%)와 ‘군부독재·군사정권·군인정치’(15.7%)를 꼽았다. 발표를 맡은 정일영 한반도평화포럼 연구원은 “보수정당보다는 개혁·진보정당을 선호하나, 전반적으로 기존 정치세력을 대안세력으로 지지하지 않는 모습도 확인된다”고 말했다.
토론자들은 한결같이 7090세대를 규정하는 방식이 더욱 정교하고 신중해야 한다고 주문하는 한편, 현재 30대가 ‘88만원 세대’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승호 한국청년센터 운영위원장은 이 세대의 특징을 ‘불안·장벽·공생’ 세 가지로 압축해 정리했다. 삶의 질 하락에서 불안을 느끼고 기성 질서를 극복하기 어려운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려면 사회공동체의 공생을 주요 과제로 내세워야 한다는 것. 그는 “복지정책뿐 아니라 ‘청년고용할당제’ 등 고용을 통한 부의 재분배 구조를 제대로 세우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7090세대와 88만원 세대가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
'a survey of public opin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마이뉴스 여론조사 (0) | 2012.01.02 |
---|---|
경향신문 신년여론조사 (0) | 2012.01.02 |
박근혜 안철수 가상 양자대결…안, 오차범위 넘어 12%P 앞서 (0) | 2011.11.28 |
시사저널 여론조사 (0) | 2011.11.21 |
[창간 20주년 문화일보 여론조사] (0) | 2011.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