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24)
-
[한겨레 퍼옴] 국가는 잘사는데 왜 국민은 못사는가?
미국 중산층 붕괴, ‘좋은 정치’가 해결책 등록 : 2015.01.08 21:28수정 : 2015.01.08 21:28 페이스북 트위터 싸이월드 네이버북마크 구글북마크 이메일보내기 구글플러스닫기 국가는 잘사는데 왜 국민은 못사는가 도널드 발렛·제임스 스틸 지음, 이찬 옮김 어마마마·1만5000원 케빈 플래너건은 ..
2015.01.09 -
[한겨레 퍼옴]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_황태연
서양의 ‘정의’보다 공맹의 ‘인애’ 등록 : 2015-01-08 21:26 공자 사상 바탕한 새 ‘인간과학’ 인의·행복국가 위한 ‘공감의 해석학’ 황태연 교수는 “공자와 맹자의 윤리학이야말로 오늘날 새로운 패러다임에 적합하다”며 ‘공감적 해석학’을 새로운 윤리와 국가를 이루기 위한 기..
2015.01.09 -
민심과 여론: 민심의 바다 위에 떠 있는 돛단배 정치
우리 시대 정치인들이 꼭 읽고 성찰했으면 좋겠다. 국가는 무엇이고, 민심은 무엇이고, 공론은 무엇인지...민은 무엇이고 국가는 무엇인지...그래서 우리라는 공동체가 어떻게 서로를 느끼고 장을 만들어 가는지.... 황태연,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파주: 청계, 2014), 243~244쪽 "가장 중요..
2014.12.30 -
[NIE]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는 왜 인권 문제일까요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는 왜 인권 문제일까요 등록 : 2013.10.21 19:52 수정 : 2013.10.21 19:52 2011년 5월15일 ‘세계 병역거부자의 날’ 행사에서 참가자들이 국방부 앞에서 몸으로 ‘PEACE’(피스·평화)를 쓰는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정용일 기자 yongil@hani.co.kr [NIE 홈스쿨] 양심의 자유와 병역 거..
2013.10.22 -
[대담] 알랭 바디우-홍세화
“남북한 모두 체제유지 위해 서로 이용…공범관계 단절해야” 등록 : 2013.10.02 19:38 수정 : 2013.10.02 21:27 프랑스 철학자 알랭 바디우(오른쪽) 파리고등사범학교 명예교수와 홍세화 <말과 활> 발행인이 지난달 30일 오전 서울 강남의 한 호텔에서 만나 정치와 철학, 공산주의, 북한과 남..
2013.10.03 -
북한의 권력과 일상생활
목차 프롤로그 제1부일상의 구조와 의식의 흐름 제1장북한연구에서 일상생활연구방법의 가능성과 과제 · 고유환 제2장의식의 변화 그리고 ‘소란과 행위’ · 정영철 제3장일상의 저항과 북한체제의 변화 · 조정아 제2부일상의 정치와 노동의 사회적 드라마 제1장일상생활의 생산: 전..
2013.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