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9. 28. 19:27ㆍlecture
OECD 통계 : 생산 & 수입
[해설] 한국, 인건비 증가율 더뎌
(2010년 9월 27일자)
■ 한국인, 1시간 노동으로 25.3달러 GDP 생산
- OECD 회원국의 2008년 노동생산성 정도(Labour Productivity Level)를 살펴보면 평균 41.8달러 로 나타남
; 1시간 노동으로 미국은 55.3달러, 일본은 38.3달러의 GDP를 생산함
; 노르웨이 (75.2달러)와 룩셈부르크 (77.6달러)가 타 회원국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
남
- 한국의 경우 1시간 노동으로 25.3달러의 GDP를 생산하고 있어 OECD 평균보다 16.5달러 낮은 것으로 나타남
■ 한국인, 1시간 노동당 GDP 성장률은 매우 높은 수준
- 1995년 부터 2008년까지 한국의 1시간 노동당 GDP 성장률(Growth in GDP per hour worked)은 슬로바키아와 에스토니아 다음으로 높음
; 한국의 노동생산성 성장률은 4.8%로 매우 높은 (OECD 평균은 1.7%) 수치를 기록함
; 반면 이탈리아와 스페인은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남
- OECD는 1시간 노동당 GDP 성장률 (노동생산성 성장 - Labour Productivity Growth)이 생활수준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라고 말함
; OECD는 각국의 1인당 GDP성장률 (통상적으로 일컫는 생활수준 지표)과 1시간 노동당 얻는
GDP 성장간의 관계가 밀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함
- 또한 한국의 노동생산성이 성장한만큼 노동시간(노동사용 - labour utilisation) 역시 감소함
; OECD에 따르면, 한국의 2008년 국민 1인당 GDP 성장률은 2.2%로 OECD 평균인 0.6%보다 높
음
; 1시간 노동으로 얻은 GDP 성장률 역시 한국이 4.8%으로 OECD 평균인 1.7%보다 높게 나타남
; 이 두가지 좌표를 종합할 때 한국인 노동자의 실질 노동시간은 2001년 2,506시간에서 2008년
2,256시간으로 250시간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음 (아래의 그래프 참고)
■ 한국의 노동효율성, OECD 평균보다 뒤떨어져
- 한국의 노동생산성 정도 (1시간 노동 GDP 생산성)와 1시간 노동당 GDP 성장률은 큰 폭으로 성장했지만, 노동활용도 측면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음
- OECD에 따르면 ‘노동활용도’가 낮을수록 한 국가의 높은 실업률, 실제 노동인구의 낮은 노동 참여도를 반영한다고 분석함
- 따라서 한국의 전반적인 노동지표를 보면 1시간당 노동으로 얻는 GDP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질적인 고용환경이나 청년 실업은 나아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함
■ 한국, 1시간 노동당 GDP 성장률은 높은데 비해
인건비 증가율은 더뎌
- 1998년부터 2008년까지 OECD 연평균 인건비 상승률은 2.3%임
; 지난 10년간 호주, 뉴질랜드, 스페인, 덴마크의 단위 노동비용(=인건비)은 상승했으나 아이슬란
드, 한국, 슬로베니아의 단위 노동비용은 하락함
- 한국의 연간 단위 노동비용 상승율은 변동폭이 심한 것으로 나타남
; 표에서 보듯, 2002년까지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넘나드는 등 그 격차가 매우 컸고, 2004년 이후에
도 여전히 변동 폭이 큰 편임
[한국 및 OECD 주요국 단위 노동비용 연 성장률] (단위: %)
- 한편, 미국의 인건비 성장률 역시 변동 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증감폭이 적게는 0.8%, 많게는 4.1% 변동을 보이고 있음
; 일본의 단위노동 비용은 1999년부터 계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
- 결과적으로 한국은 1시간 노동당 벌어들이는 GDP 성장율 (노동생산성)는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자 1명의 인건비(단위 노동비용) 증가율은 더딘 것으로 나타남
※ 본 내용은 'P&C리포트 -> 원본다운로드' 코너에서 아래아 한글 원본과 PDF 파일, 그리고 OECD 보고서 영문 원본파일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난화] 하루 259㎜ 비폭탄…한반도에 무슨일이? (0) | 2010.09.29 |
---|---|
윤리적 소비가 세상을 바꾼다 (0) | 2010.09.29 |
[OECD 통계] 한국, 총 고정자본 투자 비율 OECD 2위 (0) | 2010.09.28 |
[OECD 통계] 한국, 총 고정자본 투자 비율 OECD 2위 (0) | 2010.09.28 |
[OECD 통계] 한국, 가계 저축율 큰 폭 감소 (0) | 2010.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