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_추석민심 여론조사]

2011. 9. 14. 13:45a survey of public opinion

 

[추석민심 여론조사] 여론조사 어떻게
서울2065·전국2029명… 지역별 비례할당 조사

서울신문이 추석 연휴 민심을 들어보기 위해 여론조사기관인 여의도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서울시장 보궐선거 및 대선 후보 지지에 대한 여론조사는 지난 12일 서울시민 2065명과 전국의 국민 2029명을 대상으로 각각 조사했다.

●성·연령별 무작위 추출

조사 대상은 대선 후보 지지율 조사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통계청 주민등록 인구 현황에 따라 제주를 포함한 전국 16개 시·도에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비례 할당을 한 뒤 무작위로 추출해 정해졌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여론조사도 서울 25개 구를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로 비례 할당을 한 뒤 무작위 추출로 정했다.

조사는 임의번호 걸기(RDD·Random digit dialing) 방식을 통한 ARS전화조사로 이뤄졌다. RDD 방식은 전화번호에서 지역번호와 국번을 제외한 마지막 4자리를 컴퓨터로 생성해 전화를 거는 방식이다.

 

●번호부 등재 안된 전화도 조사

0000부터 9999까지 임의로 전화번호 뒷자리를 생성한 뒤 무작위로 전화를 거는 것이기 때문에 KT전화번호부에 등재되지 않은 번호까지 조사가 가능하다.

최근 집 전화번호를 전화번호부에 싣지 않는 가구의 비율이 높아진 것을 감안해 표본 수의 제한으로 결과가 왜곡되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다.

한편 이번 대선 후보 여론조사는 표본오차 95%에 신뢰수준 ±2.18% 포인트이고, 서울시장 보궐선거 조사는 표본오차 95%에 신뢰수준 ±2.16% 포인트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주민투표 표준 4區 지지율은
도봉·종로 羅 - 동작·양천 朴 ‘선호’

‘서울의 평균’ 4곳의 민심은?

지난 8월 24일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에서 전체 투표율 및 시간대별 투표율까지 거의 일치해 ‘표준 지역’으로 여겨졌던 4개 구가 있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김·박 대결 땐 김총리, 종로만 우세

 

도봉구(투표율 25.4%), 동작구(25.6%), 양천구(26.3%), 종로구(25.1%)로 이들 4개 구는 서울시 전체 투표율인 25.7%와 시간대별 추이까지 같은 맥락을 보였다. 그러나 이들 4개 구는 서울시장 보궐선거 예비 주자를 놓고는 지지세가 확연히 갈려 복잡다단서울시민들의 표심을 내보였다. 가장 유력한 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한나라당 나경원 최고위원과 야권의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의 양자대결을 가정했을 때 도봉구(49.7%)와 종로구(56.1%)는 나 최고위원을, 동작구(46.3%)와 양천구(52.4%)는 박 이사를 더 선호했다.

 

13일 불출마 의사를 밝힌 한명숙 전 국무총리와 나 최고위원, 박 이사의 3자 대결을 가정했을 때에는 결과가 달라진다.

 

도봉구(40.7%)와 동작구(36.9%)에서 한 전 총리에 대한 지지율이 가장 높았고 박 이사는 양천구(51.1%)에서, 나 최고위원은 종로구(52.4%)에서만 선두였다.

 

김황식 국무총리와 박 이사의 양자대결 시에는 박 이사가 도봉구(54.4%), 동작구(48.7%), 양천구(47.6%)에서 모두 앞섰고 김 총리는 종로구(47.3%)에서만 박 이사를 제쳤다.

여당 인사들만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나 최고위원은 양천구를 제외한 3개 구에서 선두였다.

 

●여, 나경원·야권, 박원순 선두

 

지지율은 종로구(44.3%)에서 가장 높았고 이어 동작구(23.9%), 도봉구(17.4%) 등으로 나타났다.

양천구에서는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에 대한 지지율이 18.2%로 가장 높았고 나 최고위원의 지지율은 13.3%였다. 야권 주자들을 놓고는 양천구(39.6%)와 동작구(32.6%), 도봉구(23.7%)에서 박 이사를 더 선호했다. 종로구에서는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27.1%)의 지지율이 가장 높게 나왔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불출마’ 한명숙, 박원순에 15%P 뒤져
천정배 4.6%·이정희 3.3% “잘 모르겠다” 부동층 36%나

13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불출마 입장을 밝힌 한명숙 전 국무총리는 서울신문의 여론조사에서도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게 지지율에서 크게 밀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야권에서 거론되는 후보들 중 누가 서울시장 후보로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박 상임이사는 35.4%의 응답을 얻어 한 전 총리(20.1%)를 무려 15.3% 포인트나 앞섰다.

천정배 민주당 최고위원은 4.6%,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는 3.3%의 지지를 얻었다. ‘잘 모르겠다’(36.6%)는 응답이 여전히 가장 많아 ‘부동층’이 변수로 남아 있긴 하지만 야권의 서울시장 후보는 박 상임이사 쪽으로 급격히 무게중심이 기울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 전 총리가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고 박 상임이사가 무소속으로 나와 한나라당 후보와 3자 대결 할 때를 가정해도 한 전 총리는 박 상임이사에게 지지율에서 15% 포인트 안팎 정도 줄곧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김황식 국무총리, 민주당 한 전 총리, 무소속 박 상임이사가 3자 대결 벌이는 경우를 가정했을 때 무소속 박 상임이사의 지지율은 36.3%로, 민주당 한 전 총리의 21.4%를 무려 14.9% 포인트나 앞섰다.

 

한나라당 김 총리는 33.3%의 지지율로 2위를 기록했다.

 

한나라당 나경원 최고위원, 민주당 한 전 총리, 무소속 박 상임이사의 3자 구도에서도 무소속 박 상임이사가 36.8%로 나 최고위원(35.5%)을 누르고 1위의 지지율을 보였다.

 

민주당 한 전 총리는 22.2%의 지지율을 얻는 데 그쳤다. 박 상임이사와 한 전 총리의 지지율 격차는 14.6% 포인트였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16개시·도 정당별 지지율
35% “지지 정당 없다”

내년 4·11 총선을 7개월 남겨 놓은 시점에서 정당별 지지율은 한나라당이 33.2%로 민주당의 18.7%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부동층이 35.1%로 나타나 국민 3명 중 1명은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만큼 내년 총선에서의 유동성이 높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이어 국민참여당 3.0%, 민주노동당 2.4%, 자유선진당 2.3%, 미래희망연대 0.9% 순이었다.

16개 광역시·도 중 정당 지지율보다 부동층 비율이 높은 지역은 경기, 경남,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전남, 전북, 충남 등 9곳이나 됐다. 지역별로 부동층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으로 응답자의 절반을 웃도는 54.8%가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고 답했다. 반면 제주에서는 부동층이 7.6%로 가장 낮았다.

 

서울에선 한나라당이 39.8%, 민주당 12.2%, 국민참여당 4.1%, 민노당·자유선진당이 각각 1.8%를 기록한 가운데 부동층이 36.3%를 차지했다. 경북은 한나라당 지지가 53%,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가 31.8%로 여당 지지세가 뚜렷했지만 광주에선 부동층 38.7%, 민주당 36.2%로 부동층 비율이 오히려 높았다.

 

세대별로는 전 연령대에서 한나라당 지지율이 민주당 지지율을 웃돌았다. 20대에선 한나라당 16.8%, 민주당 13.2%였고, 30대에선 한나라당 34.5%, 민주당 22.4%, 40대에선 한나라당 27.4%, 민주당 22.1% 순이었다. 50대에선 한나라당 41.0%, 민주당 18.4%였고, 60대 이상에선 한나라당 51.5%, 민주당 15.7%였다. 그러나 20대에서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부동층이 54.7%로 절반을 웃돌았고 40대에서도 36.8%가 부동층으로 파악됐다.

 

이재연기자 oscal@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박원순·나경원 양강구도 속 부동층 향방이 변수
10·26 서울시장 보선 후보경선 안갯속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여야 후보로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의 ‘양강 구도’가 형성됐지만 지지 후보가 없는 부동층이 전체의 3분의1을 넘어 여전히 ‘안갯속’으로 평가됐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지난 12일 서울신문이 여의도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한가’라는 질문에 나 최고위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24.8%로 가장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나 최고위원은 서울시내 25개 구 중 강서·구로·은평구를 제외한 22개 구에서 1위에 올라 지역별로 고른 지지율을 나타냈다.

 

지지율 2위인 김황식 국무총리(11.4%)와는 13.4% 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이어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10.3%),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8.7%), 황창규 전 삼성전자 사장(4.1%),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3.1%)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의 37.6%는 ‘모르겠다’고 답해 나 최고위원과 김 총리의 지지율을 합한 것보다 많았다.

 

서울시장 야권 후보를 묻는 질문에서도 ‘모르겠다’는 답변이 36.6%로, 35.4%의 지지율로 1위에 오른 박 상임이사를 앞질렀다. 다만 20.1%의 지지율로 야권 후보 2위에 오른 한명숙 전 총리가 13일 불출마를 선언한 만큼 박 상임이사의 독주 체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박 상임이사는 구로·서대문·성동·종로·중구를 제외한 20개 구에서 ‘야권 후보 1순위’에 올랐다. 박 상임이사와 한 전 총리에 이어 천정배 민주당 최고위원(4.6%),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3.3%) 등의 순이었다.

 

박 상임이사와 맞대결을 펼칠 경우 한나라당 후보로는 나 최고위원보다 김 총리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다.

 

박 상임이사와의 지지율 격차가 나 후보의 경우 8.5% 포인트(49.7% 대 41.2%)인 반면 김 총리는 7.7% 포인트(45.9% 대 38.2%)로 작았다. 단, ‘모르겠다’고 답변한 부동층 비율은 9.1%(박 VS 나)에서 15.9%(박 VS 김)로 늘어났다.

 

지역별로는 박 상임이사가 강동·강북·관악·광진·노원·동대문·동작·서대문·성동·성북·양천·영등포·은평·중랑구 등 14개 자치구에서 한나라당 후보가 누구냐에 상관없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후보는 강서·구로·마포·서초·송파·종로·중구 등 9개 자치구에서만 비교 우위를 보였다. 강남·도봉구에서는 나 최고위원이, 금천·용산구에서는 김 총리가 각각 한나라당 후보로 나설 때 박 상임이사를 누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한 전 총리가 민주당 후보로 나서 3자 대결이 이뤄질 경우 무소속 박 상임이사와 한나라당 후보인 나 최고위원(36.8% 대 35.5%), 김 총리(36.3% 대 33.3%)가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박東안西’ 지지율 분할… 내년 대선 PK·40대가 가를 듯
추석 차례상 오른 박근혜·안철수 선호도 살펴보니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원장은 서울신문과 여의도리서치가 추석 당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박빙의 승부를 이어갔다. 양자 대결에서 박 전 대표는 46.1%, 안 원장은 44.3%의 지지율을 얻었는데, 이 같은 오차범위 내 혼전은 추석 이전에 실시했던 다른 조사들과 비슷하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박빙의 지지율을 뜯어보면 두 후보의 지지기반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박 전 대표는 한반도 동쪽에서 지지율이 높고, 안 원장은 서쪽에서 높은 ‘동서 분할’ 현상이 두드러진다. 박 전 대표와 안 원장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8개씩에서 나란히 우위를 차지했다. 박 전 대표는 강원·대구·경북·경남·부산·충남·충북·제주에서 우위를 보였고, 안 원장은 서울·경기·인천·대전·광주·전남·전북·울산에서 박 전 대표를 눌렀다.

 

주목할 점은 한나라당의 텃밭이자 지난 총선에서 ‘친박(친박근혜) 무소속’ 돌풍이 일었던 부산·경남·울산 등 이른바 PK 지역에서 안 원장의 지지율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다. 특히 울산에서는 안 원장이 59.7%의 지지율을 얻어 박 전 대표(37.9%)를 눌렀다. 부산에서는 박 전 대표가 44.6%로 안 원장(32.4%)을 12.2% 포인트 앞섰지만, 격차가 50% 포인트 이상 벌어진 대구·경북 등에 비하면 편차가 그리 크지 않았다. 경남에서도 양자의 격차는 19.5% 포인트에 그쳤다.

 

연령대별 지지율 차이도 뚜렷했다. 박 전 대표는 50대(58.7%)와 60대 이상(66.9%)에서 크게 앞섰고, 안 원장은 20대(62.7%)와 30대(49.6%)에서 강세를 보였다. 40대의 지지율은 박 전 대표가 45.4%, 안 원장이 46.7%를 차지해 팽팽했다. 내년 대선의 승부가 PK와 40대에서 갈릴 수도 있음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도시에서는 안 원장을, 농촌에서는 박 전 대표를 선호하는 현상도 나타났다. 안 원장은 대전에서 53.0%를 얻어 36.1%에 그친 박 전 대표를 따돌렸으나, 같은 충청권인 충남과 충북에서는 박 전 대표에게 뒤졌다.

 

한편 여권의 대선 후보로 김문수 경기지사를 지지한 응답자 중 55.2%는 ‘박근혜-안철수’ 양자 대결에서 안 원장을 지지했고,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를 지지한 응답자 중 51.4%도 안 원장을 지지했다. 반면 야권의 대선 후보로 손학규 민주당 대표를 지지한 응답자 중 58.2%는 ‘박근혜-안철수’ 양자 대결에서 안 원장 대신 박 전 대표를 택했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야권 대선후보로 지지한 응답자 중에는 35.8%만이 박 전 대표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안 원장이 박 전 대표를 위협하는 유일한 ‘대항마’라는 점도 확인됐다. ‘박근혜-문재인’ 양자 대결에서는 박 전 대표가 52.9%의 지지율을 보인 반면 문 이사장은 35.5%에 그쳤다. ‘박근혜-손학규’ 양자 대결에서도 박 전 대표가 57.7%, 손 대표는 28.3%였다. ‘박근혜-문재인-안철수’ 3자 대결에서는 박 전 대표가 41.1%, 문 이사장이 19.0%, 안 원장이 32.5%를 차지했고, ‘박근혜-손학규-안철수’ 3자 대결에서도 박 전 대표가 44.3%, 손 대표가 11.0%, 안 원장이 38.8%의 지지율을 보였다.

 

이창구기자 window2@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박근혜, 광주 뺀 전지역서 우세
與 대선후보 지지율

한나라당의 차기 대선 후보 지지율은 박근혜 전 대표가 4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김문수 경기지사 10.4%, 정몽준 전 대표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각각 7.5%의 지지율을 보였다. ‘잘 모르겠다’는 무응답층이 31.4%나 됐다.

●朴 43%·金 10.4%·鄭·吳 7.5%

지역별로는 박 전 대표가 광주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우세하게 나타났다. 박 전 대표는 특히 경북(65%)과 대구(63.8%), 충남(60.9%), 강원(55.4%)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반면 광주 지역에서는 김 지사가 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은 16.4%였다.

 

●광주선 김문수 19%… 朴16.4%

연령대별로도 박 전 대표의 지지율은 다른 주자들에 비해 모두 높았다. 60대(53.4%)와 50대(50.7%), 30대(44%), 40대(41.1%) 순으로 박 전 대표를 선호했다. 그러나 20대의 지지율은 30.7%로 비교적 낮았다. 김 지사는 20대(13.8%)에서, 정 전 대표는 30대(12.4%)에서 비교적 높은 지지율을 보였다. 한나라당 지지자의 61.8%가 박 전 대표를 선호했고 이어 정 전 대표(10.2%), 오 전 시장(10.1%), 김 지사(9.1%) 순으로 나타났다.

 

허백윤기자 baikyoon@seoul.co.kr

 

[추석민심 여론조사] 安, 중도층 흡수력 文보다 높아
野 대선후보 지지율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에 비해 지지층의 폭이 넓은 것으로 조사됐다.

원장은 특히 전통적 중도층인 ‘수도권과 40대, 그리고 부동층’에서 문 이사장을 앞섰다. 야권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후보임을 내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文 지지층 64% 安으로 이동

 

서울신문이 13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여의도리서치에 의뢰해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안 원장이 2012년 대선에서 야권 단일 후보가 됐을 때 박근혜-안철수-문재인 3자 대결에서 문 이사장의 지지층 64.3%가 안 원장 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에겐 26.6%가 옮겨 갔다. 반면 동일한 3자 대결 구도에서 문 이사장이 야권 단일후보가 됐을 경우에는 안 원장의 지지층 가운데 52.2%가 문 이사장을 지지했다. 박 전 대표 쪽으론 28.3%가 이동했다. 안 원장의 지지층이 문 이사장보다 넓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다. 달리 말하면 중도 성향의 안 원장 지지층은 문 이사장이 단일 후보가 되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안 원장과 문 이사장이 각각 박 전 대표와 양자 대결을 펼칠 경우 안 원장은 ‘중도 경쟁력’에서 문 이사장을 크게 앞섰다. 서울 지역에서 안 원장은 지지율 50%로 박 전 대표(43.1%)를 눌렀다. 문 이사장은 33.9%로 박 전 대표(52.1%)에게 밀렸다.

 

●安, 부동층서 압도적 지지

 

40대층에서는 안 원장이 46.7%를 얻어 박 전 대표(45.4%)를 근소한 차로 앞섰다. 문 이사장과 박 전 대표의 대결에선 각각 38.2%, 50.6%였다. ‘지지 정당이 없다’는 부동층에서도 문 이사장보다 안 원장을 지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안 원장과 박 전 대표의 대결 구도에서 부동층의 59.5%는 안 원장을, 31.1%는 박 전 대표를 택했다. 반면 문 이사장과 박 전 대표가 경쟁할 경우 부동층은 문 이사장 41.4%, 박 전 대표 41.3%로 반분됐다.

구혜영기자 koohy@seoul.co.kr

 

박근혜 46.1% 안철수 44.3%…한가위 지나도 박빙구도 지속
본지·여의도리서치 여론조사

‘안철수 바람’이 추석 연휴 기간에도 그 위세를 이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신문이 추석 연휴 사흘째인 1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지지율이 오차범위 내 박빙의 차이를 보였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서울신문과 여론조사기관 여의도리서치가 12일 전국 성인남녀 202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박 전 대표와 안 원장이 양자대결을 벌일 경우 박 전 대표 지지율은 46.1%를 기록, 안 원장 지지율(44.3%)을 가까스로 따돌린 것으로 나타났다.

 

안 원장은 서울·경기·인천·대전·광주·전남·전북 등 ‘서부벨트’와 영남권의 울산에서 박 전 대표를 큰 폭으로 앞섰다. 이에 비해 박 전 대표는 대구·경북·부산·경남·강원 등 ‘동부벨트’와 충남·북에서 흔들림 없는 강세를 지켰다. 이는 내년 대선이 또다시 동서 간 지역대결로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케 하는 대목이다.

 

박 전 대표와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맞붙는 경우에는 박 전 대표(52.9%)가 문 이사장(35.5%)을 크게 앞서고, 박 전 대표와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양자대결에서도 박 전 대표가 57.7%의 지지율을 보여 손 대표(28.3%)에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박 전 대표가 한나라당 후보로, 손 대표가 민주당 후보로, 안 원장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3자 대결에서는 박 전 대표가 44.3%의 지지율을 보여 공고한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안 원장이 38.8%, 손 대표가 11%의 지지율을 보였다. 또 문 이사장이 민주당 후보로 나서는 경우의 3자 대결에서는 박 전 대표 41.1%, 안 원장 32.5%, 문 이사장 19% 등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여권 대선후보로 누구를 지지하느냐는 질문에는 박 전 대표가 43.2%로 압도적 우세를 기록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10.4%를 얻어 2위를 달렸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가 각각 7.5%의 지지율을 보였다. 그러나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부동층이 31.4%나 돼 향후 정치지형 변화에 따라 여권 대선구도에도 적잖은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예고했다.

 

범야권 대선후보로는 안 원장이 34%의 지지율을 기록해 문 이사장(16.4%)과 손 대표(12%),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6.4%), 유시민 국민참여당 대표(4%) 등을 크게 앞섰다. 야권에서는 부동층(27.2%)이 여권에 비해 적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편 같은 기간 서울시민 2065명을 대상으로 10·26 서울시장 보선과 관련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여권 후보로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과 범야권 단일후보로 박원순 희망제작소 임이사가 맞붙는 양자대결에서 전체 응답자의 49.7%가 박 상임이사를 지지한다고 답해 나 최고위원(41.2%)을 앞지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권 후보로 김황식 국무총리가 나서는 경우에도 박 상임이사는 45.9%의 지지율을 기록해 김 총리(38.2%)를 이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광삼·장세훈기자 his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