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3. 4. 13:28ㆍeunpyeong
골목 파고드는 대기업 유통, 영세 상인들 울상 | |||||||||
북가좌, 증산, 수색 인근 슈퍼사업자들 이마트 입점에 사업조정신청 내고 안간힘 | |||||||||
20년 넘게 슈퍼에서 잔뼈 굵었건만 “이 곳에서만 20년이 넘었다.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지금 농협 자리에 있던 슈퍼에 취직해 직원으로 일하다 3년 전에 가게를 인수해 지하매장으로 옮겼다” 김 모씨(42세)는 슈퍼마켓 직원으로, 이제는 슈퍼마켓 사장으로 내리 20년 이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다. 11일, 10분 정도 이야기를 나누는 사이, 서너 명의 손님이 다녀간다. “38개, 46개짜리고, 15kg입니다. 대봉은 54개고요”, “익으면서 줄어들죠, 지금 팽팽할 때죠. 순창 게 좋아요. 맛도 괜찮고” 손님의 이런 저런 말에 응대하는 솜씨가 베테랑급이다. 지나가던 택시운전사가 차를 세워두고 물건을 보다 사간다. 길 건너 차 뒤 칸에 짐을 부려준다. 야채를 사러 나온 아주머니에게 파와 갓을 담아주고, '오징어는 생물'이라는 말을 건넨다. 김 사장은 이렇게 매장 안이 아니라 바깥에서 오전시간 슈퍼마켓 일을 보고 있다. 그는 갈현동에 사는 은평구 토박이기도 하다. 일터가 이곳이다 보니 그는 “인근 주민들을 많이 안다. 저쪽 개발되는 통에 많이 이동하시잖아요. 그래도 여기 사는 사람들과 안면이 많고 옛날부터 거래하던 단골도 많다.”고 말한다.
그는 지난 10월 이마트가 개점한다는 말을 듣고 골목상권을 위협하는 것 아니냐는 판단에 따라 북가좌동 인근 영세 자영업자 40명의 서명을 받아냈다. 처음에는 중소기업청에 사업개시 중지를 요구했지만 반영되지 않았고, 지금 상생조정안을 내 협의 권고를 받은 상태다.
증산시장 근처에서 슈퍼마켓을 하는 박 아무개씨(56세). 그는 2년 전 신사동에서 10년 가까이 터 닦고 자리 잡았던 슈퍼마켓을 SSM 홈플러스에 내주고 옮겨왔다. 집기시설비 명목으로 권리금을 받았지만 떠밀려났다는 생각이다. 임대료를 올리려는 상가 주인의 암묵적인 압력도 있었던 데다 자신이 그 자리를 내놓지 않으면 바로 인근에 들어오려고 알아보는 걸 보고 그곳에서 장사를 접기로 했던 것. 그의 말에 따르면 SSM 홈플러스는 90% 외국 자본으로 본사 물류창고와 영업망을 갖고 직접 경영한다. 컴퓨터 망을 통해 모든 지점의 오전, 오후 저녁시간대 시세를 관리한다고 한다. 한때 그 회사 물품 공급을 받고 로열티를 주고라도 영업을 할 수 없을까도 알아보았지만 직원을 파견하는 직영체제로 독립적인 영업을 인정하지 않는 시스템이라고 한다. 그가 새로 자리잡은 이곳은 수색증산뉴타운 재개발로 2~3년 후면 대부분 상가가 문을 닫아야 한다. 그는 ‘조합과 협의 여하에 따라 권리금을 받아 나갈 수 있고, 최근 용산사태로 영업보상비가 2개월에서 3개월로 늘어났다.’며 비교적 낙관하고 있었다. 문제는 그 2년 기간을 두고 이마트가 미리 들어서는 바람에 초죽음이 되게 생겼다는 것이다. 그는 여러 차례 “방법이 없다.”는 말을 내뱉었다. 그러면서 “등록제는 누구든지 하겠다고 하면 받아주는 거다. 허가제로 바뀌어야 한다. 정치인들이 빨리 정신 차려서 등록제가 아니라 허가제로 해야만 자치단체에서도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법이 허가제로만 되어 있었다면 상인들이 머리띠 두르고 데모하는 상황을 염려해 자치단체가 쉽게 허가를 내주지 못할 것이고, 이마트가 들어오는 것도 간단치 않았을 거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허가제로 법 바꾸어야, 서민경제 위한다는 건 말뿐 | |||||||||
기사입력: 2009/11/18 [11:00] 최종편집: ⓒ 은평시민신문 Copyrights ⓒ epnews.net 이 기사의 저작권은 은평시민신문에 있습니다. 무단 전재와 상업 목적의 재배포를 금합니다. |
'eunpyeo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포 클러스트 (0) | 2010.03.14 |
---|---|
[아름다운 문화가 시민을 행복하게 합니다] 시민중심 지역 문화사업 (0) | 2010.03.04 |
대성고 자사고 전환, 반대의견이 많아 (0) | 2010.03.04 |
[인터뷰-최순옥 선생님] 지역 풀뿌리 운동 10년 (0) | 2010.03.04 |
[인터뷰-최옥례할머니] 재래시장이 싸고 물건도 좋다든디 (0) | 2010.03.04 |